건설업계 ‘제살깎아먹기’ 미분양 처리 ‘해약 역풍’
A건설사는 지난 2010년 10월 용인시 기흥구 보정동의 한 아파트 사업장에서 미분양 아파트에 대해 계약금 보장제를 실시했다.
계약자가 해약을 원하면 위약금 없이 3천만원을 고스란히 돌려주는 제도다.
이 업체는 계약금 보장제를 도입한 뒤 상당수 미분양을 처리했고 김포 풍무지구의 신규사업장에도 이를 적용했다. 그러나 보정역 사업장은 입주를 3개월 앞둔 현재 총 379가구 중 절반 이상이 미분양으로 돌아왔다.
중대형에 대한 수요가 줄고 유럽발 금융위기에 대한 불안이 지속되면서 집값이 떨어지자 계약자들이 대거 해지에 나선 것이다.
16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부동산 경기 침체 장기화로 궁지에 몰린 건설업계 ‘제살깎아먹기’식 분양 마케팅을 벌였다가 역풍을 맞고 있다.
국내 주택사업이 분양부터 먼저하고 건물을 짓는 방식이라 초기 분양률이 일정 수준(50%)을 못넘기면 자금 회전이 되지 않아 사업을 제대로 진행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건설업계는 더 이상 내부적으로 처리할 수 없게 된 미분양 물량까지 털어내기 위해 더 독한 고육지책을 내놓고 있는 셈이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분양 이후 은행에서 중도금 집단대출을 받으려면 최소한 50%는 계약이 돼야 한다. 건설사의 대책이 덫이 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며 “선분양 후 시공 자체가 시장이 나아질 것이라는 기대감에 근거한 방식이라 침체가 길어질수록 건설사들은 진퇴양난에 빠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건설산업연구원 관계자는 “미분양 부담을 건설사에만 지우는 대신 정부가 일정 부분 지원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최원재기자 chwj74@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