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노트] 경기TP의 잇따른 문제점 개선 필요

중소기업의 ‘산업기술 혁신’ 및 ‘인력양성’ 등 실질적인 기업지원을 목표로 설립된 경기테크노파크(이하 경기TP)는 지난 1998년 안산시(535억원), 지식경제부(245억원), 경기도(100억원)로부터 총 1천134억원을 지원받아 안산시 상록구 사동 일대 20만㎡ 부지에 기술고도센터와 지원 편의동 등을 갖추고 출발했다.

경기TP 내에는 컨소시엄 대학 등이 입주, 기술개발은 물론 인력 양성을 위해 노력해 왔으며, 바이오 관련과 전자·정보·통신, 자동차·로봇 관련 업체 등이 입주, 미래 기술산업과 인재 양성 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정부와 지자체가 경기TP를 대상으로 잇따라 실시한 감사에서 드러난 문제점은 과연 경기TP가 미래의 기술산업 및 인재 양성 등을 이끌어 낼 수 있을지 의문을 갖게 한다.

지식경제부는 지난달 11일부터 5일간 기획감사를 시행한 결과 경기TP의 본부장과 팀장 등 간부들이 지난 3년여 동안 수십차례에 걸쳐 내부 규정을 어기고 업무협의 등의 명분으로 외부 관계기관에 출장을 나간 뒤 각종 평가 및 심사수당을 받아 챙겨오다 적발됐다.

또 안산시가 지난해 9월 10일간 벌인 감사결과 숙박비가 발생치 않는 기내 숙박에도 국외여행 경비를 지급하는 등 부적정하게 수당을 챙기거나, 경비를 지급한 행위가 적발돼 시정과 주의, 징계 등의 처분을 지시했다. 하지만 경기TP는 간부 직원들의 반발로 ‘불문경고’라는 솜방망이 처벌에 그쳐 오히려 문제의 본질을 외면한 채 제식구 감싸기에 급급했다는 지적이다.

정부와 지자체로부터 보조금을 받아 운영되는 경기TP는 지난해 공직자 부패방지를 위한 ‘임직원 행동강령 규정’을 제정했음에도 감사에서 적발될 때까지 비위 사례 대부분이 신고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심각한 도덕성 해이가 비난을 사고있다.

차제에 경기TP는 잘못된 분분에 대해서는 재발 방지를 위해 뼈를 깎는 자구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경기TP가 설립 취지에 부합해 산업기술 지원은 물론 인력양성이라는 본연의 목표를 이뤄내는 기관으로 다시 태어나기를 기대한다.

구재원 안산주재 부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