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가철과 공휴일이 겹친 지난 15일 경기북부지역에 연천 328㎜ 등 집중호우가 내렸다. 이렇듯 도내 곳곳에 많은 비가 내렸음에도 인명피해가 없었다는 것이 의아스럽다. 예년의 이러한 집중호우라면 산간계곡에서의 인명피해 및 저지대에서 인명피해가 발생해 매스컴을 떠들썩하게 했을텐데 그렇지 않았다.
휴가철 도내 산간계곡에 더위를 식히기 위한 야영객들이 많았음에도 인명피해가 단 한 명도 없고 무사히 집중호우를 넘겼다. 항상 단골메뉴처럼 나왔던 고수부지에 물에 잠긴 차들도 보이지 않았다.
이같이 경기도가 기상재해를 슬기롭게 넘긴 이유를 취재해 보니 김문수 경기지사의 도정운영에 숨은 내력이 있었다.
김 지사는 경기도의 면적이 광범위하고 인구와 주요 산업이 밀집돼 있어 수해가 나면 타 지자체보다 막대하기 때문에 경기도만의 특화된 재난안전대책용 기상예보가 필요하다고 판단, 기상청의 총괄예보관출신 중 우수한 기상예보전문가를 채용했다. 신속하고 세부지역별로 기상판단을 가능케 함으로써 재해에 효율적으로 대비하자는 것이었다.
이에 도는 지난해 공고를 통해 기상청 총괄예보관 출신을 기상정책자문관으로 채용(1월2일), 기획행정실 재난대책담당관실에 근무케 했다. 예보전문가를 채용한 후 가장 큰 변화는 도내 31개 시·군의 기상예보를 재난대책담당 공무원에게 신속하게 전파, 대응할 수 있도록 시간을 벌어 준 것.
도는 지난 14·15일의 집중호우를 대비, 일주일 전부터 물폭탄(?)을 예상하는 가혹 조건을 토대로 이동전화을 통해 ‘관내 산사태·저지대위험지역, 노후축대 사전점검 및 산간계곡, 하천변 유원지의 피서·야영객 귀가조치 등 예찰활동 당부’하는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발송했다.
공식적인 시·군 연락체계 외에 도내 시장·군수, 부시장·부군수, 방재담당공무원, 자율방재단에 시시각각 신속한 기상전망과 대응 연락체계를 구축한 결과다. 수해예방을 위한 경기도의 기상정책자문관제도는 다른 지자체에서도 도입할 만하다.
김 창 학 정치부 부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