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대사관 앞에 더 큰 ‘위안부 소녀상’ 세워야”

美하원의원, 광주 나눔의 집 방문

“일본대사관 앞에 더 큰 ‘위안부 소녀상’을 세워야 합니다.”

지난 2007년 미국 하원의 ‘위안부 결의안’ 채택을 주도했던 에니 팔레오마베가 미국 하원의원과 일본계 3세 마이클 혼다 의원이 20일 광주시 퇴촌면 ‘나눔의집’을 방문했다.

팔레오마베가 의원은 이 자리에서 “(주한일본대사관 앞에 세운) ‘위안부 소녀상’은 너무 작아 오히려 피해자들에게 치욕적이다”며 “한국정부가 더 큰 추모상을 건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팔레오마베가 의원은 “일본 정부가 사과하지 않은 이상 피해자들이 어떻게 견디고 무엇을 겪었는지 알리고 일본에도 상징이 될 수 있게 더 큰 추모상 건립이 꼭 필요하다”며 동석했던 새누리당 이한성·노철래 의원에게 이명박 대통령에게 청원해 줄 것을 요청했다.

그는 “이제 할머니들이 돌아가시고 있는데 더 좋은 대우를 받아야 한다”며 ‘위안부’와 ‘성노예’ 용어 논란에 대해서는 “성노예가 맞다”며 “실제 일어난 일(강제동원)을 보면 위안부라고 절대 사용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

마이클 혼다 의원 역시 “둘 중 골라야 한다면 성노예가 적절하다”고 말했다.

“위안부보다 성노예가 맞는 용어… ‘위안부’ 문제 꼭 해결될 것” 위로

지난 7월 힐러리 클린턴 미국 국무장관의 ‘강요된 성노예(enforced sex slave)’발언에서 시작된 위안부 용어 논란에 대해 우리 정부는 한글 용어는 그대로 사용하고 공식 영문명칭을 ‘Sexual slavery victims for the Japanese imperial army’(일본 제국군을 위해 징집된 성적 노예 희생자)라고 정리한 바 있다.

혼다 의원은 2007년 ‘위안부 결의안’ 채택 당시를 회고하면서 “당시 일본 민주당 리더들은 찬성했다. 누가 우리의 친구인지 알아야 한다. 일본인이 어떤 길이 옳은 길인지 격려하며 같이 참여하도록 이끌어야 한다”며 일본 우호세력과의 연대를 주문했다. 그는 “비가 오면 강물이 불어나 바다로 흘러들 듯이 위안부 문제도 해결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피해자 이옥선 할머니(85)는 “우리가 당했던 일을 생각하면 (두 의원이 방문한)이 자리가 너무 행복하다”며 눈시울을 붉혔다.

비영리 민간기구인 한국GPG재단의 초청으로 지난 16일 입국한 이들 의원은 방한 마지막 날 나눔의 집을 찾았으며, 이 자리에는 위안부 피해 할머니 6명이 참석했다.

한편, 팔레오마베가 의원은 네 번째, 혼다 의원은 세 번째 나눔의 집을 방문했다.

광주=한상훈기자 hsh@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