늦더위가 기승을 부리더니 가을을 알리는 비에 소리소문없이 물러갔다. 가을비 탓인지 갑자기 온도가 떨어진 탓에 여기저기서 콜록거리는 소리가 끊이지 않는다. 일교차로 떨어진 면역력을 회복시키고, 환절기 건강을 지켜주는 가을 건강차에 대해 알아보자.
■감기야 물러 꺼라 ‘진피생강차’
옛날부터 몸이 으슬으슬하고 미열이 있을 때 진피(귤 껍질 말린 것)를 다려 마셨다. 바이러스 감염 때문에 생기는 감기는 신체 체력이 떨어졌을 때 쉽게 걸려 비타민C를 섭취해야 한다. 과육보다 더 많은 양의 비타민C를 함유하고 있는 진피에 몸의 냉기, 풍기, 습기를 없애 몸을 따스하게 해주는 생강을 더한 진피생강차를 마시면 맛과 향은 물론 건강까지 지킬 수 있다.
콜록콜록~ 감기엔 진피생각차
기침 검은콩차ㆍ기관지염 모과차
편도선 부었을 땐 길경차 좋아
■기침이 심할 땐 ‘검은콩 차’
검은콩 차는 환절기 감기로 기침이 심할 때 차로 끓여 마시면 효과가 좋다. 구수한 맛이 좋아 물 대신 마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감기 때문에 열이 난다면 검은콩과 쑥을 말렸다가 다려 마시면 땀을 내고 열을 내리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건조한 피부엔 ‘당귀차’
한약재로 쓰이는 당귀는 건조한 날씨가 이어지는 가을에 건성 피부를 가진 사람들이 먹기에 제격이다. 피부 건조증이나 아토피로 고생하는 환자들이 당귀차를 우려 마시면 몸의 차가운 기운을 따뜻하게 해줘 몸 전체의 혈액순환을 돕는다. 당귀차는 몸을 보온시켜주는 한편 빈혈, 냉증, 생리통, 생리불순 등 부인과 질환에도 효과가 좋다.
■기관지염이 생기면 ‘모과차’
모과는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해주며 기침과 가래에 좋아 감기 또는 기관지염 약재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많은 양의 칼륨을 함유하고 있는 칼륨은 체내에 불필요한 수분을 땀이나 소변으로 배출시켜 몸을 따뜻하게 해주는 작용을 한다. 특히 몸의 찬 기운을 없애주고 폐를 보호해 기관지염에는 제격이다.
■편도선이 부었다면 ‘길경차’
질경이의 주성분은 기침과 가래를 없애주는 사포닌으로 이뤄져 있다. 요즘처럼 일교차가 큰 날씨에 감기걸려서 기침을 많이 하면 편도선이 붓고 염증이 생기기 마련이다. 이럴 때 질경이를 달인 길경차를 마시면 가래가 줄어든 효과를 볼 수 있으며 심한 기침, 폐병, 담혈 등의 환자는 길경차를 장기 복용하는 것이 좋다.
장혜준기자 wshj222@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