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외면하는 여야 대선후보 경기도 이익 줄 후보에 몰표줘야
다음날 경기일보 1면에선 박 후보의 이름을 찾을 수 없었다. 4면에 한 귀퉁이에 잡다한 정치권 소식과 함께 섞여 들어갔다. 경기일보만 이런 게 아니다. 이 신문 저 신문도 다 그렇게 다뤘다. 크게 쓰지 않은 것이 아니라 크게 쓸 ‘선물’이 없었던 것이다.
야권의 대선판도 윤곽을 드러내고 있다. 민주통합당의 후보 경선은 문재인 후보 쪽으로 기울고 있다. ‘호남+PK’필승론과 ‘수도권 필승론’의 대결도 덩달아 싱겁게 끝나가는 모양새다. 부산 경선도, 충청도 경선도, 광주 경선도 전부 ‘호남+PK’의 판이었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경기도가 얘기됐을 리 없다. 야권의 또 다른 축인 안철수 교수 역시 PK다. ‘침묵의 선거운동’을 펴는 탓에 딱히 트집 잡을 거리는 없다. 하지만 경기도 산하기관 책임자였던 그로부터도 ‘경기도’ 얘기는 나온 적이 없다.
며칠 전 경기일보에 민주당발(發) 경기도 얘기가 떴다. ‘이해찬 대표, 이번 대선에서 경기도 중요성 강조’라는 기사다. 그런데 그뿐이다. 그래서 어떻게 하겠다는 말도, 뭘 해주겠다는 설명도 없었다. 밑도 없고 끝도 없기는 박 후보나 진배없다.
‘D-두 자리’로 꺾여 들어간 대선판인데도 이렇다. 또다시 꿈틀거리는 경기도 실종(失踪)의 대선역사다. 경기도는 부산의 덤이고 호남의 덤이라는 계산들이다. 그게 아니라면 이런 상황이 벌어지겠는가. 그래서 하는 얘기다.
박 후보에 대해 퇴로를 막는 가혹한 질문을 던져야 한다. ‘규제 존속이냐 규제 철폐냐’를 답하라고 강제해야 한다. 결국엔 수도권이냐 지방이냐의 질문이다. 그래도 선택을 하라며 대 놓고 윽박질러야 한다. “민감한 부분”이라는 대답에 고개를 끄덕여주면 안 된다. “고민하겠다”는 표현을 이해하고 넘어가 주면 안 된다. 지방은 그를 그렇게 녹녹히 다루지 않는다. “신공항을 내놓으라”며 노골적으로 압박한다. “수도권 규제를 풀면 좌시하지 않겠다”며 대놓고 협박한다.
‘호남+PK’의 대선 공식에 사로잡힌 야권에도 본을 보여야 한다. ‘경남 양산’을 근본 삼는 안철수가 아니라 ‘안철수의 경기도 생각’을 캐물어야 한다. 경기도 투자 기관인 서울대 차세대 융합기술연구원장직을 임기 중에 내던진 이유를 물어야 한다. ‘경남 거제’를 근본 삼는 문재인이 아니라 ‘ 문재인의 경기도 구상’을 따지고 들어야 한다. 정부청사 충청권 이전과 공기업 지방 이전을 밀어붙인 참여정부 출신이다. 그 때문에 힘들어진 경기도를 어쩔 것인지 물어야 한다.
경기도는 더 이상 주인 없는 표밭이 아니다. 몇 번의 선거를 통해 호·불호의 의사를 분명한 드러냈다. 이를 증명할 빼도 박도 못할 통계도 있다. 2007년 대선에서는 51.9%가 이명박 후보에게 표를 줬다. 상대 정동영 후보에게 돌아간 표는 23.55%에 불과했다. 2012년 4.11 총선에서는 52석 가운데 야권에 31석(민주 29+진보 2)을 줬다. 새누리당에게 준 의석은 21석뿐이다. 이쯤 되면 새롭게 시작되는 경기도 몰표의 역사다. 이번 대선도 그래야 한다. 경기도의 이익을 철저하게 따져묻고 그 결론이 난 쪽으로 몰려 가야 한다.
경기도 지역주의를 선동하려 함이 아니다. 1천300만 경기도민의 생존을 얘기하고 있는 것이다. 규제 해소 질문에 입 닫고 버티는 대권 후보, 부산 잡아야 이긴다며 우르르 몰려다니는 대권 후보들. 이들을 멀뚱히 지켜보고만 있어서야 되겠는가. 그 속에서 어떻게 경기도의 5년을 담보 받을 수 있겠는가. 냉철하게 물어야 하고, 꼼꼼히 따져야 하고, 혹독하게 비판해야 한다. 그래서 18대 대통령 선거를 끌고 와야 한다. 경기도민에겐 그럴만한 희생이 있었고 자격이 있고 표(票)가 있다.
한 달 평균 20개의 업체가 부도로 넘어간다. 22만명의 실업자가 길거리를 헤맨다. 한국은행 경기지부가 내놓는 경기도의 현실이다. 경기도에 잘하겠다는 사람을 고르고 또 골라야 하는 너무도 절박한 이유다.
[이슈&토크 참여하기 = 18대 대통령, 800만 경기 유권자가 결정하자]
김종구 논설실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