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료값 오르니 사육두수 줄여라? 정부, 국제곡물가 상승 대책… 축산농가 “폐업하라 등 떠밀어” 반발
국제곡물가 상승으로 사료값 폭등이 우려되는 가운데 정부가 소와 돼지의 사육두수를 줄이는 방안을 내놓아 경기지역 축산농들이 반발하고 있다.
24일 농림수산식품부와 전국한우협회 등에 따르면 농식품부는 최근 대통령 주재 비상경제대책회의를 통해 ‘국제곡물가 상승 대응방안’을 발표했다.
이 방안에는 사료 수요를 줄이기 위해 암소를 올해 하반기 중 13만마리 이상 감축하고, 돼지도 18만마리를 선발 도태한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하지만 이를 두고 경기도내 축산농가들은 경영악화로 적자를 보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 축산업을 더욱 벼랑 끝으로 밀어넣는 대책이라며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쇠고기 자급률이 50%가 안 되는 상황에서 장기적으로 수입업자들만 배불리는 꼴이라는 것이다. 또 감축장려금을 지급해 영세 축산농가들을 중심으로 도축이 몰릴 경우 오히려 가격 폭락을 부추길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평택에서 한우 150여두를 키우고 있는 박모씨(59)는 “사료값은 지난해보다 두배가 뛰어 한달에 2천만원에 육박하는데 소값은 지난해의 반 토막밖에 안 된다”면서 “소를 다 팔고 일을 접어야 하나 심각하게 고민하고 있는 와중에 정부가 아예 폐업을 하라고 등을 떠밀고 있다. 기가 막힌다”며 한숨 쉬었다.
유완식 전국한우협회 경기지회장은 “이르면 연말부터 미국의 옥수수 가격 상승으로 사료값 인상률이 수십%가 될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고 있다”며 “근시안적 사고에서 벗어나 사료안정기금 설치 등 국민의 생명을 책임질 1차 산업인 축산업을 살릴 수 있는 실질적인 대안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