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동건설 1차부도, 지역 건설업체 운명은…

극동건설 법정관리 신청… 건설업계 ‘줄도산 공포’
경기·인천 공사현장 상당수… 하청업체들 ‘공사대금 못받을라’ 발동동

중견 건설사들의 부도 사태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시공능력평가 38위인 극동건설이 법정관리를 신청하면서 경기지역 건설업체들의 줄도산이 우려되고 있다.

26일 대한건설협회 경기도회 등에 따르면 9월 현재 100대 건설사 중 워크아웃·법정관리에 들어간 건설사는 모두 20여곳에 이른다.

풍림산업, 우림건설, 남광토건, 삼환기업, 벽산건설 등 중견 건설사들이 올해 들어 워크아웃 또는 법정관리에 들어가면서 하도급 업체들이 줄줄이 문을 닫고 있다.

이날 광주시 오포읍 웅진스타클래스 태재힐스 공사 현장에서 하도급 업체 직원들은 6개월간 임금과 공사비용 등을 받지 못한 상태에서 극동건설이 1차 부도처리됐다는 소식을 듣고 발을 동동 굴렀다.

이와 함께 건설공제조합이 보유 중인 극동건설 공사현장에 대한 보증잔액이 1조원을 넘는 것으로 파악돼 최종 부도처리될 경우 관련 업계에 큰 타격을 주게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현재 극동건설의 사업장 가운데 건설공제조합이 주시하고 있는 곳은 인천 구월동 주상복합현장과 악성 미분양을 보유하고 있는 파주 당동 아파트 현장, 용인 타운하우스 죽전 1차~4차 등 경기·인천지역 현장이 상당수 포함돼 있다.

건설공제조합 관계자는 “업체가 쓰러져도 공사가 진행되면 조합의 대지급의무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현장이 중단되지 않도록 주의깊게 관찰하고 있다”고 밝혔다.

대한전문건설협회 경기도회 관계자는 “대형 업체들이 부도처리되면 하도급 전문건설업체들은 자금 회전이 않돼 버틸 수 없는 지경에 이른다”며 “하도급 지급 보증제도가 운영되고 있지만 관리 감독 부실 등으로 인해 돈을 제대로 받을 수 있는 경우가 드문 만큼 하도급 업체의 연쇄 부도를 막기 위한 정부의 종합 대책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최원재기자 chwj74@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