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부터 도소매시설 없었다
경기도가 광주지역에 건립한 경기 친환경농산물센터에 도소매시설이 빠져 논란(본보 9일자 10면)이 일고 있는 가운데 애초 설계 단계부터 도소매시설이 존재하지 않았던 것으로 드러나 파장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주민들은 지난 2009년 12월 사업이 최종 확정됐을 당시 도소매시설이 누락된 것을 알고도 최근까지 1천여명의 고용창출 효과를 홍보에 활용한 정치권에 대해 분노를 쏟아내고 있다.
10일 경기도와 광주시 등에 따르면 도는 광주시 곤지암읍 삼리 지역에 총 사업비 480억원을 투입해 건립한 경기친환경농산물센터 사업 과정에서 시설이 6만9105㎡ 부지에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로, 학교급식시설과 집배송장, 도소매시설, 저온저장고, 포장 가공시설 등을 갖추고 있다고 홍보했다.
그러나 최근 친환경농산물센터에 도소매시설이 누락된 사실이 발견되면서 논란이 시작됐다. 여기에 설계도면 어디에도 도소매 시설과 관련된 내용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광주시의 대동맥이라 할 수 있는 3번 국도변 노른자위 땅을 창고시설로 전락시켰다는 비난이 일고 있다.
지역 주민들의 반발이 거세지자 경기도와 지역 정치권이 진화에 나섰지만, 이마저도 실효성 논란에 빠졌다.
도는 지난 9일 센터내 회의장에서 곤지암읍 이장협의회와 이진찬 농정국장, 강석오 도의원 등 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간담회를 개최하고 유통센터 내에 210㎡ 규모의 소매점 설치와 당초 비즈니스센터를 조성을 검토했던 주차장 부지 약 3천300여㎡를 활용, 친환경농산물과 도자기ㆍ중소기업 제품을 아우르는 판매시설을 설치하는데 합의했다. 이날 협의된 내용은 11일 경기도청에서 이장단협의회와 경기도간 MOU 체결을 통해 구체화되지만, 소매점과 주말 직거래장터에서는 친환경농산물만 취급토록 돼 있어 실효성 논란이 일고 있다.
상인 최모씨(48)는 “1년안에 계획을 수립해 설명회를 열겠다는데 주민들은 예산확보에 회의적인 입장”이라며 “뜬구름 잡는 식이 아닌 구체적인 지역경제활성화 방안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광주=한상훈기자 hsh@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