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보다 적고 부산AG 수준으로
2014 인천 아시아경기대회(AG) 주경기장 건설에 국비를 지원받을 수 있는 청신호가 감지되고 있다.
그러나 당초 인천시나 인천지역 시민단체들의 계획대로 평창 동계올림픽 수준의 국비를 지원받기는 어려워보여 인천AG 향방을 가늠하기가 쉽지 않다.
11일 인천시에 따르면 내년 예산에 인천AG 주경기장 국고지원분으로 1천320억원 상당을 요구했다.
주경기장 총 사업비 4천900억원의 30%에 해당하는 1천470억원 가운데 올해 지원된 150억원을 뺀 것이다. 시는 500억원 이상의 예산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인천지역 국회의원들은 주경기장 국고지원분으로 1천320억원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는 예측을 내놓고 있다. 최대 1천700억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는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민주통합당 문병호 의원은 “인천AG 기반시설이 내년에는 거의 마무리돼야 하는 만큼 내년도 예산에 인천시 요구액인 1천320억원, 최대 1천700억원까지는 지원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며 “평창 동계올림픽 수준으로 지원받기는 불가능하더라도 부산AG과 비슷한 수준은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중앙정부가 주경기장 예산지원에 인색했던 것을 감안하면 희소식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인천AG 국비 지원 개정안에 평창과 비슷한 수준(경기장 건설비의 75%, 경기장 기반시설 70% 이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한 것과 달리 전체 예산의 30% 수준에 그치는 것인데다 인천의 재정위기를 극복하기에는 부족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인천AG 국비지원 서명운동을 진행했던 ‘인천시 재정위기 극복 범시민협의회’도 평창 수준의 지원을 받지 못한다면 인천AG을 반납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신규철 범시민협의회 홍보위원 은 “채무비율에서 인천AG 몫을 제외하든가 이자를 중앙정부가 보전하던가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미경기자 kmk@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