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라·루원시티 사업지연 내년부터 年30여억 적자 市 “국토부 직접 맡아야”
인천시가 청라에서 계양을 거쳐 서울 화곡을 연결하는 간선급행버스(BRT) 사업이 연간 30억원 적자가 예상되자 사업 면허를 국토해양부가 맡아야 한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15일 인천시에 따르면 737억원을 투입하는 청라~계양~서울 화곡을 연결하는 BRT 1단계 사업이 현재 85%의 공정률을 기록, 내년 6월 개통할 계획이다.
그러나 BRT가 개통하더라도 청라지구와 루원시티 개발이 더뎌 수십억원의 적자가 우려되고 있다.
수도권교통본부가 지난 2008년 ‘청라~화곡 BRT 사업 타당성 조사’에서 예상한 하루 이용승객은 1만9천673명이지만, 청라지구와 루원시티 개발사업이 지연돼 승객 수요가 턱없이 부족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시가 최근 수송 수요를 계산한 결과 개통 첫해 하루 이용승객이 6천922명에 불과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수도권교통본부 추정치의 35.2%에 불과하다.
시 예상대로라면 BRT 개통 첫해인 2013년 24억~30여억원의 적자가 불가피하고, 청라지구와 루원시티 개발사업이 정상 궤도에 오르는 2017년 이후에나 적자가 해소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시는 적자 감수는 물론 서울시, 경기도 등 지자체 내 노선 확보의 어려움, 예산 분담으로 인한 사업 침체 등이 예상된다며 지자체 면허 대신 국토부 면허로 BRT 사업을 운영해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특히 시는 BRT 사업이 국토부의 시범사업이고, 사업비의 절반이 국비지원인 광역교통체계인 만큼 서울 강남·강북 등으로 연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국토부가 직접 맡아야 한다는 주장이다.
시 관계자는 “경기도나 서울시가 예산 분담을 거부하면서 시가 모든 적자 분을 감당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국토부가 BRT 사업을 운영하지 않으면 도저히 시 혼자만으론 사업을 이끌어 갈 수 없다”고 말했다.
박용준기자 yjunsay@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