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한 스마트버스정류장 다시 뜯어보자”

“스마트버스승강장 이대론 못간다”

“기업은행 등에 특혜소지… 절차도 의혹” 인천시의회 “감사 필요해” 행감서 제동

인천시의회가 스마트버스승강장 사업에 제동을 걸었다.

시의회는 15일 건설교통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스마트버스승강장 사업이 일부 기업과 은행에 특혜소지가 있고 진행과정이 투명하지 않다며 정식 감사에 착수할 것과 시의회와의 협의가 있을 때까지 설치를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스마트버스승강장은 IBK기업은행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와 버스 승강장을 결합한 형태다.

시는 기업은행이 노후 버스승강장을 지붕과 벽면이 있는 승강장으로 개·보수해 시에 기부하고 버스승강장에 ATM을 설치, 5년 동안 사용할 수 있도록 협약을 맺었다.

시는 최근 남구 관교동 신세계백화점 앞에 스마트버스승강장 1호점을 설치해 운영하고 있으며 지역 곳곳에 34개까지 확대운영할 방침이다.

시는 버스승강장 설치비와 유지·관리비로 5년간 8억원에 달하는 예산을 아낄 수 있다고 내다봤다.

그러나 시의회는 공공시설인 버스승강장에 일부 은행 이용자를 위한 ATM을 설치하는 것은 특혜소지가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버스승강장 광고 위탁만으로도 연간 수억원 상당의 수익을 올릴 수 있고 공개경쟁입찰 방식으로 참여업체를 정했다면 예산절감액을 훨씬 웃도는 위탁수익을 올릴 가능성이 충분하기 때문이다.

시는 지난 8월 제1금융권 12곳에 스마트버스승강장 사업 참여 의견을 조회해 유일하게 기업은행만이 참여 의사를 밝혔다고 이유를 들었으나, 애초 스마트버스승강장 사업이 기업은행으로부터 제안받아 시작한 사업이었기 때문에 설득력이 떨어진다.

김병철 시의원은 “제1금융권이 아니라 광고 대행사 등을 상대로 참여의사를 조사했다면 시에 훨씬 유리한 조건으로 사업할 수도 있었던 일”이라며 “예산을 아낄 수 있다고 했지만, 오히려 세외수입이 새나가는 일이 될 수도 있다”고 비판했다.

또 정수영 시의원은 “시의회로부터 사업의 정당성을 인정받을 때까지는 중단하는 것이 옳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시 관계자는 “기업은행으로부터 사업제안을 받고 예산을 절감할 방안이라고 판단했던 것뿐”이라며 “국토해양부로부터 스마트버스승강장 도로점용허가 등 관련 인·허가 사항은 문제가 없다는 답변을 듣고 추진했다”고 말했다.

김미경기자 kmk@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