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는 원 도심 활성화 추진단을 구성해 대형 개발사업을 촉진하고 재개발·건축 예정구역을 정비하는 내용의 원 도심 활성화 대책을 추진한다.
시는 21일 김교흥 정무부시장을 단장으로 주거환경정책관과 관련 부서, 각계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원 도심 활성화 추진단(이하 추진단)’을 구성, 원 도심과 관련한 모든 업무를 총괄하기로 했다.
추진단은 주거환경정비구역 13곳 가운데 완료된 구역을 제외한 8곳의 정비에 집중하고 루원시티와 도화구역 사업 활성화에도 주력할 계획이다.
재개발·건축 예정구역 주민들이 사업성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해당 자치구를 통해 추정분담금 정보도 제공하기로 했다.
특히 주민 의견과 사업성을 고려해 사업 추진이 부적합한 재개발 구역은 조속히 해제할 방침이며, 해제 구역의 매몰비용을 시가 지원할지, 한다면 어느 단계까지를 매몰비용으로 볼 것인지도 검토한다.
서울시는 추진위원회 구성까지 들어간 비용의 70%를 지원하는 안을 추진하고 있다. 이 안대로 하면 지원 비용으로 한 구역당 평균 1억3천만원이 소요될 것으로 서울시는 추정하고 있다.
각 조합에서는 조합 설립 이후 들어가는 설계비, 안전진단비용 등을 포함해 매몰비용을 계산해 줄 것을 주장하고 있다.
허종식 인천시 대변인은 “밀어붙이기식 개발을 지양하고, 원주민의 재정착률을 높이고 지역의 특성을 최대한 살리는 틀에서 원 도심 사업에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시는 재개발·재건축 예정구역 213곳 가운데 사업추진이 부진한 45곳을 올 들어 해제한 데 이어 추가 해제를 검토하고 있다.
류제홍기자 jhyou@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