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인한 연말… 도내 중소건설사 ‘자금난’ 허덕

겨울철 수주 급감·공사대금결제 지연 ‘돈줄’ 꽉 막혀
지난달 추가 정책자금 ‘SOS’… 정부, 검토조차 없어

건설 경기 침체로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경기지역 중소 건설사들이 연말 공사대금 결제 지연 등으로 심각한 자금난에 시달리고 있다.

특히 건설업계가 지난달 추가 정책자금 지원을 건의했지만 정부 차원의 검토 조차 이뤄지지 않고 있어 긴급 자금 지원 등의 대책이 절실한 실정이다.

18일 경기지역 건설업계에 다르면 내년 말까지 국내 주요 건설사 회사채(공모 기준) 만기 금액은 총 5조9천25억원으로 이중 3조368억원(52%)이 내년 상반기 만기를 맞는다.

대형 및 중견건설업체가 심각한 자금난을 겪으면서 도내 중소건설사의 사정은 더욱 힘들게 됐다.

수원의 A건설사는 하반기 5~6건의 공사가 진행됐으나 대금 결제가 지연되면서 자금이 바닥이 났다.

더욱이 동절기 수주 물량이 급감하면서 선수금을 받을 수 있는 공공공사 수주를 따내기가 ‘하늘에 별따기’인데다 현재 공사가 진행 중인 현장에 자재와 인건비 등을 줄 여력이 없을 정도로 자금 회전이 되지 않고 있다.

A건설사로부터 하청을 받은 B전문건설업체의 사정은 더욱 심각하다.

B건설사는 A건설사의 공사 대금을 받지 못할 경우 자재 대금과 인건비 등을 주지 못해 회사 문을 닫아야 하는 상황이다.

이와 함께 건설업에 대한 추가 정책자금 지원을 기대하기 힘든 가운데 건설사들은 내년 자금조달 계획 조차 수립하지 못해 건설사들의 자금난을 해소할 수 있는 특별 자금 지원과 상환 연장 등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A건설사 대표는 “제조업체 등의 중소기업 대출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뤄지고 있지만 건설사들에 대한 지원은 전무한 실정이며 선거 정국이라 돈줄이 꽉 막혀 있다”면서 “근본적인 해결 방법은 아니지만 자금 지원은 고사하고 대출 금리 인하와 연장 등의 조치만 내려줘도 숨통이 트이겠다”고 하소연 했다.

대한건설협회 관계자는 “중견업체들의 부도로 인한 중소 건설업체(하도급)의 피해는 심각한 수준으로 연쇄 도산마저 우려된다”며 “건실한 기업에 대한 긴급 자금 투입이 절실하다”고 주장했다.

최원재기자 chwj74@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