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다시 출발점이다] (상) 새 정부가 인천을 주목해야 하는 이유

‘인천 파워’ 키워야… 대한민국 국격 ‘업’

박근혜 제18대 대통령 당선자의 인수위원회 구성이 막바지다. 인천은 애초 새 정부 출범 즉시 인수위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해 인천지역 현안을 새 정부 국정과제로 포함하는 방안을 추진했다. 대선공약보다 국정과제로 채택되는 것이 해결책을 찾는 지름길이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내심 송영길 인천시장과 같은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의 당선을 기대했던 인천시로서는 박 당선인의 인수위에 직접 참여하는 방법은 사실상 어려워졌다고 판단하고 있다.

인천시는 이제 새 정부와 어떻게 머리를 맞대고 현안을 풀어낼 수 있을지 더 큰 시험대에 올랐다. 본보는 두 차례에 걸쳐 인천시가 새 정부와 어떻게 과제를 풀어내고 해결방안을 찾아야 할지 점검해본다. 편집자 주

연평도 포격ㆍ천안함 사태 등 한반도 안보와 직결

인천AG 성공개최ㆍGCF 등 전세계가 시선 집중

공항ㆍ신항 개발 동북아 물류허브 부상 시간문제

대선이 끝나고 난 뒤 인천지역에는 안도감보다는 걱정과 우려가 퍼지는 분위기다. 그동안 인천지역 내 2014 인천 아시아경기대회 서구 주경기장 국비 지원, 제3 연륙교 건설, 국립대 출범 인천대학교 국비 지원, 송도 영리병원, 인천 신항 16m 증심 등 대다수 현안이 중앙정부와의 이견으로 지지부진했다.

새 정부 출범으로 인천도 새로운 전환점을 맞은 셈이지만, 새누리당 박근혜 당선인이 바통을 이어받은 만큼 중앙정부와의 간극을 줄이는데 쉽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박 당선인은 대선 인천지역 공약으로 인천AG 성공 개최 지원, 인천항 경쟁력 제고, 인천경제자유구역 활성화 및 접근성 제고, 경인아라뱃길 활성화, 인천도시철도 2호선 조기 개통, 경인고속도로 통행료 폐지 및 지하화 등 7개 분야의 공약을 내세웠다.

인천AG 서구 주경기장 문제를 비롯해 일부 현안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한 것이다.

그러나 박 당선인이 새 정부 100대 국정과제를 채택하면서 인천의 현안을 얼마나 염두에 두고 주목할지는 미지수다.

인천은 지리적인 위치나 시대적인 역할을 놓고 볼 때 매우 중요한 시기에 놓여 있다. 연평도 포격사태나 천안함 사태 등 직접적으로 남북긴장관계로 피해를 본 유일한 지역이며 대한민국의 안보와도 직결돼 있다.

특히 백령도와 중국 영성을 잇는 항로개발 등을 비롯해 서해 5도 지역을 평화관광지대로 개발하고 중국 관광객을 유치해 대북 억제력을 확보하려는 움직임도 활발히 일어나고 있다.

인천AG이 불과 1년여 앞으로 다가왔고 국내 최초로 UN 기구 본부인 녹색기후기금 사무국 입주도 준비해야 한다.

인천국제공항 제3단계 개발과 인천 신항 조성 등 동북아 허브 물류단지로 급부상할 수 있는 기반시설도 차질없이 진행해야 하고, 거대 소비시장이자 물류대국으로 성장한 중국과의 연계성장 발판도 마련해야 한다.

이와 관련, 시 관계자는 “박 당선인이 최우선 과제를 일자리 창출로 뽑았으니 인천경제자유구역 투자유치, 관광 인프라 개발이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미칠 수 있는 파급 효과 등을 강점으로 내세워 새 정부와 유대감을 만들어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미경기자 kmk@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