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가 해결해야 할 경기도 현안] 3. 교통

박근혜 당선인 “GTX 반드시 추진”… 도민행복시대 ‘시동’

경기도를 포함한 수도권의 교통문제는 오랜 숙원이다.

특히, 교통여건이 경기남부 지역 보다 상대적으로 열악한 경기북부 지역은 대중교통수단 확충에 가장 목말라 하고 있다.

때문에 경기남부와 북부지역 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수도권 교통문제가 가장 먼저 해소되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박근혜 당선인 역시 이러한 수도권 교통문제에 대해 큰 관심을 갖고 있는데, 경기도 관련 8대 공약에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추진 ▲수서발 KTX노선 의정부까지 연장 ▲수도권교통대책 추진 등 3가지 공약을 포함시켜 교통문제 해결에 가장 높은 비중을 두고 있다.

도는 특히 새 정부에서 본격적으로 추진될 GTX사업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

수조원의 예산이 소요되는 GTX 사업은 정부의 적극적인 의지 없이는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인데 박 당선인이 GTX의 조속한 추진을 약속, 새 정부에서 GTX 사업이 속도를 낼 것이라는 분석이다.

박 당선인은 선거운동 과정에서 GTX에 대해 약속하며 “수도권의 만성적인 교통난 해소를 위해 경기도 어디서나 서울 도심에 30분대 접근이 가능하도록 수도권광역급행철도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수도권 교통난 해결… 융복합 도시 완성

오는 2018년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는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는 현재 기획재정부가 일산~수서 46.2km, 송도~청량리 48.7km, 의정부~금의 45.8km 등 총 3개 노선 140.7km에 대해 예비타당성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이들 노선을 건설하기 위한 사업비는 총 13조638억원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도는 기재부의 예비타당성조사가 끝나는 대로 착공을 실시, 2018년 개통 후 2021년께는 GTX 통행량이 안정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당초 지난 6월 발표될 예정이었던 기재부의 예비타당성조사 결과는 임기 말 정부의 새 정부 눈치 보기로 기약 없이 지연되고 있어 GTX 사업은 박 당선인의 큰 숙제로 남게 됐다.

도는 새 정부 출범 후인 내년전반기까지는 기재부의 예비타당성조사 결과가 발표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내년 전반기에는 동탄2신도시 광역교통개선대책을 이행하는 한편 KTX와 GTX 공용구간 동시시공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도는 GTX 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되면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지역 교통난을 해소하는 것은 물론, 시민들의 문화와 생활 방식까지 변화시킬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현재 경기도 근로자 중 49%가량이 서울에서 근무하고 있고 서울 근로자 중 경기, 인천 등에서 근무하는 인구도 271만명에 이르고 있다.

도 조사결과 이들 모두 하루 평균 70여분을 통근시간으로 허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GTX가 완공되면 동탄에서 삼성 19분, 동탄에서 서울역 24분, 의정부에서 서울역 23분 등으로 이동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어, 수도권을 하나의 생활권을 묶어 삶터와 일터, 놀터가 모두 융합된 융복합 도시로 발전시켜 서울과 경기, 인천을 ‘글로벌 메가시티’로 도약시킬 것이라는 분석이다.

▲ 11개 역세권ㆍ8개 배후도시 형성 ‘급부상’

또 GTX 노선을 보면 부천, 고양, 의정부, 용인, 평택 등 11개 지역에 역세권 도시를 형성하게 되며 파주와 양주, 구리, 하남 등 8개 지역 배후도시가 형성될 것으로 보여 이들 지역인 GTX의 직접적인 효과를 볼 수 있다.

이 밖에 GTX와 연계돼 개발되고 있는 보금자리 등 택지개발 사업도 41개에 달해 GTX의 파급 효과는 국가 전체에 큰 영향을 미칠 것 보인다.

그러나 GTX 사업을 박 당선인이 약속했다고 해도 고비가 없는 것은 아니다.

현재 GTX 사업의 가장 큰 과제는 재원 마련과 사업성이다.

도는 KTX와 함께 노선을 사용하면 예산도 줄일 수 있고 사업성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고 분석하고 있지만, 아직 기재부의 예비타당성조사가 발표되지 않아 새 정부가 어떠한 정책적 판단을 내릴지 알 수 없다.

특히 3개 노선의 동시 착공 여부는 사업성을 판가름할 중요한 요소인데, 3개 노선 동시 착공 여부에 따라 사업비가 수천억원 이상이 추가로 소요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13조원이 넘는 막대한 예산이 들어가는 사업인 만큼 민간자본을 어떻게, 얼마나 끌어들일 수 있을지도 새 정부의 숙제다.

더불어 현재 경기도와 서울, 인천의 지자체장 정당이 다른 가운데, 박원순 서울시장은 취임 전 GTX 사업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을 표시한 바 있어 3개 지역의 합의와 협조를 이끌어 내는 것 역시 새 정부가 GTX 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풀어야할 과제로 꼽히고 있다.

▲KTX 의정부까지 연장 등 다양한 교통대책 추진 기대

GTX 이외에도 박 당선인은 ‘수서발 KTX 노선 의정부 연장’ 등 다양한 교통대책을 공약으로 제시해 도내 교통여건이 새 정부 임기 내 획기적으로 개선될 전망이다.

박 당선인이 약속한 KTX 연장 노선은 현재 건설 중인 평택~수서 KTX를 서울 삼성·노원을 거쳐 의정부까지 약 30km를 연장하는 방안이다.

해당 노선이 확정되면 의정부를 비롯, 양주·동두천·포천·연천·구리·남양주·가평 등 570만 경기 동북권 지역 주민들이 KTX를 타기 위해 서울역·용산·수서까지 가야 하는 불편을 크게 덜게 된다.

이밖에 박 당선인은 ▲월곶~광명~판교 ▲여주~원주 ▲인덕원~수원 간 복선전철 건설에도 적극 지원할 것을 약속해 수도권 교통문제 해결에 대한 도민들의 기대가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다.

이호준기자hojun@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