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CF 사무국 유치를 계기로 녹색 환경수도 건설도 추진
인천시는 올해 역점시책으로 원도심 재창조 사업과 일자리 창출, 녹색환경도시 건설 등을 확정했다.
3일 시에 따르면 올해 인천 도심 균형발전을 도모하고자 원도심 재창조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전부 철거하는 방식의 재개발이 아닌 선택과 집중으로 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원주민의 재정착과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재개발·재건축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시는 우선 원도심 활성화추진단을 꾸려 운영을 시작했으며 167개 재개발·재건축 사업구역 가운데 실현 가능성이 적은 18개 지역을 시 직권으로 취소했다.
원도심 활성화 세부 사업으로는 생활권별로 사람이 모이는 ‘테마별 특화가로’와 주민과 공공기관이 함께 참여하는 ‘인천형 마을 만들기’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원주민이 모두 재정착할 수 있는 ‘괭이부리마을’ 사업을 인천형 재정비사업 모델로 삼아 앞으로 유사한 방식의 재개발을 추진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또 인천을 남북·동서로 가로막은 경인고속도로 무료화, 제3 연륙교 착공, 송도~여의도 간 광역고속철도 건설 등도 추진한다.
시는 투자유치를 통한 일자리 창출에도 매진할 방침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 동아제약, 아지노모토 등 바이오산업과 엠코 테크놀로지 등 첨단 IT산업, 보잉, P&W 등 물류산업 등 신성장 동력산업을 육성해 일자리를 늘리기로 했다.
지난해 인천지역 외국인 직접투자(FDI) 신고액은 20억3천만 달러로, 서울에 이어 전국 2위를 달성했다.
올해는 청라경제자유구역에 하나금융지주가 1조원가량을 투자한다. 시는 그동안 투자유치 양해각서를 체결한 16조원 규모의 협약이 현실투자로 이어지면 10만여 개의 일자리가 생길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와 함께 사회적 기업 176개, 마을기업 50개를 조성해 취약계층 일자리를 지원하고 인천 비전기업 1천 개를 지정, 청년 인턴십 등 젊은 일자리를 만들기로 했다.
또 시는 상반기 유엔 녹색기후기금(GCF) 사무국이 들어서는 것을 계기로 인천을 녹색환경 수도로 만들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GCF 사무국이 조기 정착할 수 있도록 행정·재정적으로 차질없이 지원하는 것은 물론 녹색 환경수도 건설의 발판을 마련하고자 5R 운동(절약, 재사용, 재활용, 재생에너지, 도시재생)을 확산하기로 했다.
이밖에 몽골지역과 북한지역 사막화를 방지할 ‘인천 희망의 숲’ 조성 등 국제 협력강화에도 나서기로 했다.
김미경기자 kmk@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