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갈수록 냉기류… 꼬여가는 市 교류사업

6월 실내무도AG 공동응원단 등 특별팀 불투명

축구전용경기장 개장 기념 축구경기 물 건너갈 듯

GCF 연계 대북조림ㆍ농업협력 인적교류도 ‘빨간불’

중앙정부가 유엔의 대북제재 강화에 동참하기로 하면서 인천의 남북교류 사업이 표류 위기를 맞고 있다.

북한이 유엔 대북제재 강화 결의안에 반발하면서 3차 핵실험 가능성까지 시사하고 나선 이상 박근혜 당선인 정부가 출범하더라도 대북기조가 강경책으로 흐를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인천시는 올해 열리는 2013 실내·무도 아시아경기대회(AG)와 전국체전에 북한 선수단을 초청하는 등 체육교류 행사를 추진할 예정이다.

특히 오는 6월 29~7월 6일 일정으로 열리는 실내·무도AG에는 북한과 공동응원단을 꾸리고 북측 공연단도 초청해 전 세계적으로 인천AG에 대한 관심을 끌어 모으겠다는 구상이다.

인천AG 남북공동추진 특별팀을 꾸려 인천AG 개·폐회식 공동입장, 성화봉송, 공동응원 등 남북 공동행사를 기획하고 추진방안도 논의하기로 했다.

시로서는 인천AG의 주요 흥행요인인 남북 공동행사가 성사돼야 성공적으로 대회를 치를 수 있다고 보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중앙정부가 공식적으로 유엔의 대북제재 결의안을 적극 지지한다고 나서면서 전망이 불투명해졌다.

중앙정부로부터 대북접촉 승인이나 지원을 받기 어려워질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면서 시의 남북교류 사업도 일단 멈춘 상태다.

올해 상반기에 인천축구전용경기장 개장 기념으로 인천유나이티드 FC와 북한 4.25 체육단과의 남북축구 교류도 물 건너갈 것으로 보인다.

유엔 녹색기후기금과 연계해 추진하려던 대북 산림복구사업과 수산업협력사업, 농업협력사업 등 기술·인적 교류 사업도 빨간불이 켜졌다.

시는 산림청, 아시아산림협력기구(AFeCO)와 업무협약을 맺고 2억 원 상당의 예산을 투입해 북한 황해도 일원에 잣나무와 소나무 등을 심는 조림사업을 진행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시는 박 당선인이 그동안 수차례 북한의 핵개발은 용납하지 않겠다는 단호한 입장을 보인 만큼 차기 정부가 들어서더라도 남북관계가 더욱 경색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시 관계자는 “남북교류를 이어가야 한다는 시의 입장에는 달라진 것이 없지만, 남북교류 사업은 대부분 중앙정부의 승인을 얻어야 할 뿐 아니라 시가 단독으로 추진하기 어려운 것들이다”며 “차기 정부가 어떤 결정을 내릴지 추이를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김미경기자 kmk@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