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랜드 3월 착공 무산… ‘빈수레가 요란’
인천정보산업진흥원, 구체적 계획 제시못해
도시公과 민간부문 토지매입ㆍ가격도 ‘불발’
“아무런 준비도 없이 축포만 울려댄 꼴” 빈축
인천시와 인천정보산업진흥원의 로봇랜드 3월 착공 계획이 무산됐다.
인천시와 인천정보산업진흥원은 지난달 27일 지식경제부로부터 로봇랜드 조성 실행계획 승인을 받았다며 ‘3월 착공’을 공표했으나 첫 삽을 뜰 준비가 전혀 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시와 진흥원은 내년 1월께나 착공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로봇랜드 건설은 사업을 위탁받은 특수목적법인(SPC) (주)인천로봇랜드가 공사를 시작하려면 진흥원으로부터 운영계획을 넘겨받아 이를 바탕으로 실시설계를 해야 한다.
그러나 진흥원은 운영계획 윤곽만 잡고 있을 뿐 구체적인 계획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로봇랜드는 국·시비 595억 원씩 1천190억 원을 투입하는 공공부문 2만790㎡와 민자 5천514억 원을 투입하는 민간부문 74만6천㎡ 등 모두 76만7천여㎡ 규모다.
공공부문은 진흥원이 토지소유주인 인천도시공사로부터 무상임대를 받아 공익시설을 짓고, 나머지 민간부문은 테마파크와 부대시설이 들어선다.
진흥원은 민간부문 부지를 어떻게 운영할지 계획을 세우지 못하고 있다. 민간부문은 스트리트몰 등 건물 등을 지어 분양하는 방식과 토지를 분양하는 방식으로 구분된다.
진흥원은 인천도시공사로부터 민간부문 토지를 사들여 분양해야 한다. 진흥원은 상업지역은 3.3㎡당 650만원 상당 등 3.3㎡ 당 235만 원씩에 매입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지만, 인천도시공사와 아직 토지가격을 합의하지 못하고 있다.
이 때문에 진흥원이 구체적으로 운영계획을 수립하고 (주)인천로봇랜드가 실시설계를 마무리하려면 최소한 6개월 이상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조영홍 인천시의원은 “(주)인천로봇랜드 측은 운영계획서가 넘어오는 즉시 실시설계에 들어갈 준비가 거의 끝난 상태인데 진흥원이 늑장을 부리면서 로봇랜드 사업을 질질 끌고 있다”면서 “관리감독을 하면서 로봇랜드 사업이 원활히 추진되도록 유도해야 할 인천시도 아무 준비도 없는 상황에서 축포만 요란하게 울려댄 꼴”이라고 비난했다.
이와 관련, 진흥원 관계자는 “인천시, 지경부 등과 협의하면서 운영계획을 세워야 하기 때문에 실질적인 기공식은 내년 초께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며 “다시 검토하고 보완하는 기간을 거쳐 최종 운영계획을 내놓을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미경기자 kmk@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