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중대형 아파트 ‘찬밥’ 10년새 공급 최저

작년, 전체 물량의 18.08%…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하락세

부동산 경기 침체로 중소형 아파트가 강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전용 85㎡ 초과 중대형이 차지하는 비율이 지난 2003년 조사 이래 최저치를 기록했다.

20일 부동산 즐겨찾기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ㆍ경기ㆍ인천에 공급된 아파트(주상복합 포함)의 전용면적을 조사한 결과 중대형은 전체 물량의 18.08%를 차지했다. 중대형 아파트는 지난 2003년 이후 상승세를 보이다 2007년에는 50.20%까지 최고점을 찍었다. 그러나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국내 부동산시장에도 영향을 미쳐 중대형 아파트의 공급이 감소했다.

지난해 수도권에서 중대형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서울이다. 전체 6천268가구 중 43.76%(2천743가구)가 중대형으로 공급됐다. 강남보금자리지구에서 중대형으로 1천20가구가 공급돼 중대형 물량이 많았던 것으로 분석된다.

경기지역은 3만4천477가구 중 3천886가구(11.27%)가 중대형으로 수도권에서 가장 낮은 비율을 기록했다. 또한 인천은 1만177가구 중 2천579가구(25.34%)로 중대형 비율이 비교적 낮은 편이다.

안소형 닥터아파트 리서치연구소 팀장은 “분양시장에서 중대형 아파트의 인기가 줄어 건설사들도 중대형 공급을 줄였다”며 “이같은 현상은 인구구조 변화와 부동산 경기 침체로 중소형을 선호하는 다운사이징 현상이 확산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최원재기자 chwj74@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