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문점 남북 연락사무소 간 직통전화가 11일 차단됐다.
북한의 대남기구인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는 지난 8일 성명을 통해 남북 간 불가침 합의 전면폐기와 판문점 연락통로를 단절한다고 밝힌 바 있다.
통일부 측은 "오늘 오전 9시 우리 측 연락관이 북측 연락관에게 전화통화를 시도했지만 북측이 받지 않았다"고 밝혔다.
판문점 우리 측 연락사무소에는 전화 2회선(팩스 1회선)이 설치돼 있다. 남북 연락관들은 공휴일과 휴일을 제외하고 매일 오전 9시께 업무개시 통화와 오후 4시께 업무마감 통화를 해왔다. 또 주요 사안이 있을 때 수시로 의견을 주고받아 왔다.
북한은 지금까지 두 차례 적십자채널을 폐쇄했다가 복원했다.
지난 2010년 5월 천안함 폭침에 대한 대북제재 조치인 5·24조치를 단행하자 판문점 적십자채널을 폐쇄했다가 2년 2개월여 만인 2011년 1월 복원했다.
이에 앞서 우리 정부의 유엔총회 대북인권결의안 공동제안에 반발해 지난 2008년 11월 12일 판문점 적십자채널을 차단했고, 김대중 전 대통령의 서거와 관련한 북측 조문단 파견과 이를 계기로 한 남북적십자회담을 앞두고 2009년 8월 25일 복원했다.
그러나 북한은 판문점 적십자채널 단절에도 서해지구 군 통신선을 통해 개성공단 출입에는 동의를 표시해왔다. 이에 개성공단 출입은 정상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온라인뉴스팀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