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아라뱃길 활성화 해답은 ‘개방형 친수공간’

경인아라뱃길 시민토론회
물류ㆍ경관시설만으로 한계 시민휴식처 조성 등 급선무

경인아라뱃길을 활성화하려면 시민들이 자유롭게 찾을 수 있는 친수공간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인천시의회는 지난 29일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 국제회의장에서 경인아라뱃길사업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시민토론회를 열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경인아라뱃길의 운영적자를 해결하려면 물류사업 이외에 친수공간(산책, 스포츠, 물놀이 등의 레크리에이션과 경관에서 심리·정서적 만족을 주는 시설 등이 있는 하천공간)으로 만들어 시민들의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는데 의견이 모였다.

경인아라뱃길의 운영수입은 지난해 2천330억 원에서 오는 2016년에는 502억 원으로 78.5% 감소하는 반면, 유지관리비는 271억 원에서 415억 원으로 53.1% 증가할 것으로 조사됐다.

물류단지 분양수입은 줄어드는데, 당초 계획과 달리 대형선박이 통과하도록 설계를 변경하면서 교량이 길고 높게 설치돼 유지관리 비용은 늘어나기 때문이다.

최혜자 인천경실련 사무국장은 “경인아라뱃길 사업의 적자가 예상되자, 한국수자원공사는 물류 이외의 사업 추진에 매달리는 상황”이라며 “경인항 우측으로 새로운 요트 입출항로를 확보해 요트의 연안항로를 개설하는 등 아라뱃길을 새롭게 활용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요트의 연안항로 개설, 연안크루즈 도입, 지역 내 다양한 축제와 연계 등 친수공간 프로그램을 개발해 시민들의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이와 함께 경인아라뱃길 남측도로를 한국수자원공사에서 직접 관리하는 하천구역으로 편입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유병환 시 항만공항시설과장은 “아라뱃길의 특성상 화물선이 통과해야 하기 때문에 교량을 아치형으로 만들어 교량의 길이가 길고, 교량 8개 중 6개가 인천시에 집중돼 연간 유지관리비가 많이 든다”며 “남측도로는 아라뱃길 건설과 병행해 건설된 것이므로 한국수자원공사에서 직접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매년 63억 원 규모의 막대한 유지관리비가 소요되는 상황에 이를 무조건 지자체에 떠넘기기보다는 국가적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조상운 인천발전연구원 연구위원은 “4대 강 사업 후 유지관리비 문제로 지자체의 반발이 크자, 치수시설은 전액 국고지원으로, 친수시설은 지자체가 50%를 부담하게 했다”며 “아라뱃길도 최소한 4대 강 사업 유지관리 수준의 국가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민기자 suein84@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