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스펙을 뛰어넘는 채용 트렌드가 도입되고 있다. 실제로 기업 10곳 중 4곳은 채용 시 스펙의 평가 비중을 줄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대표 이정근)이 151개 기업을 대상으로 ‘최근 스펙의 평가 비중 변화’를 조사한 결과 38.4%가 스펙의 비중이 ‘낮아지는 추세’라고 답해, ‘높아지는 추세’(15.2%)보다 두 배 이상 많았다. 스펙과 스펙 외의 평가 기준도 평균 32대68로 집계돼 스펙 외의 평가 기준이 큰 영향을 미쳤다.
그렇다면 스펙 대신 높아진 평가 기준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고, 맞춤형 대비를 하자.
기업이 스펙 대신 중요하게 평가하는 기준으로 ‘조직 적응력’(72.4%)이 1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적극성’(55.2%), ‘인재상 부합 여부’(46.6%), ‘창의, 혁신적 사고’(44.8%), ‘신뢰감’(43.1%), ‘성장 가능성’(37.9%), ‘지원직무 전문성’(31%), ‘강한 입사의지’(31%), ‘사교성 등 대인관계’(31%) 등이 꼽혔다.
또한 기업들은 지원자들의 이러한 요소를 평가하기 위해 면접 방식을 다양화(56.9%)하고, ‘열린 채용’(32.8%), ‘인턴 등 실습 확대’(27.6%), ‘단계별 면접전형 등 세분화’(25.9%), ‘자유기재 항목 등 자기PR기회 제공’(20.7%), ‘차별화된 자기소개서 항목’(15.5%), ‘인적성검사 실시’(10.3%) 등을 한다고 답했다.
임민욱 사람인 팀장은 “스펙보다 인재상 부합여부와 인성을 더 중요하게 평가하는 기업이 늘고 있다”며 “기업 인재상에 기반한 조직 적응력과 열정을 적극적으로 어필하는 게 경쟁력이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정자연기자 jjy84@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