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뜰폰서비스 요금은 저렴한데 정보는 ‘부족’

알뜰폰서비스(알뜰폰) 이용 요금은 저렴한 데 비해 요금제 등 관련 정보나 가입경로가 다양하지 않아 소비자들이 알뜰폰 가입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알뜰폰서비스는 전기통신사업법상 별정통신사업자가 기존 이동통신서비스 사업자(SKT, KT, LGU+)로부터 이동통신망을 임차해 소비자에게 이동통신서비스를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판매하는 것으로, MVNO(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 가상이동망사업자)서비스라고 한다.

28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올해 3월 기존 이동통신서비스를 이용하다 알뜰폰으로 전환했거나 두 서비스를 동시 사용 중인 300명을 조사한 결과, 알뜰폰을 이용하면서 월평균 41.3%의 통신비를 절감한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3G 스마트폰 정액요금제 이용자는 알뜰폰으로 전환하면서 46.7%(5만1천226원→2만7천312원), 4G(LTE)폰 정액요금제 이용자는 52.1%(5만7천495원 → 2만7천528원)의 통신비를 절감했다.

또 알뜰폰의 통화품질에 대해서도 94.0%(282명)가 기존 이동통신서비스의 품질과 동일하다고 응답해 통화품질에 전반적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알뜰폰 업체 18개 중 오프라인에 가입처를 둔 업체는 2개(11.1%)에 불과했고, 13개(72.2%)는 홈페이지에서만 가입이 가능했다.

고객센터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응답자(99명) 중 가입절차 안내, 이용정보 제공 및 고객응대 서비스에 만족했다고 응답한 이용자는 66.7%(66명)에 그쳐, 알뜰폰 가입과 이용 편의를 위한 서비스 및 제도 개선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한국소비자원은 ‘알뜰폰서비스 비교정보’, ‘소비자 선택요령’ 등을 스마트컨슈머 홈페이지(www.smartconsumer.go.kr)에 기재해 소비자들의 알뜰폰 이용을 지원할 예정이다.

한국소비자원 관계자는 “알뜰폰의 보급확대를 위해 관련기관 및 업체에 가입경로 확대 및 정보제공 개선 등을 건의ㆍ요청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장혜준기자 wshj222@kyeonggi.com

알뜰폰서비스 소비자 선택 요령

■알뜰폰서비스 업체 선택 요령

알뜰폰서비스는 기존 이동통신사의 통신망을 그대로 이용하므로 음성통화 등 서비스 품질에는 차이가 없다. 업체마다 가입 방법, 요금제, 제공 서비스, 기타 이용 조건 등이 다르므로 사전에 확인해야 한다.

■요금제 선택 요령

선불요금제는 국내 일시 거주자 등 단기간 이용자로서 월 1~2만원 정도 이동통신서비스를 사용하는 소비자에게 유리하다. 일반폰 후불요금제는 종량요금제와 정액요금제가 있는데 음성통화 위주의 소비자에게 적합하다.

스마트폰 정액요금제는 월 1~2만원 정도의 상대적으로 저렴한 정액요금제가 출시되어 있으므로 기존 이동통신서비스보다 요금제 선택의 폭이 넓다.

■단말기 선택 요령

2010년 이후에 출시된 단말기는 대부분 알뜰폰서비스에 사용할 수 있고 기존의 단말기를 사용할 경우 ‘유심칩’만 구입하면 개통 가능하다. 알뜰폰서비스 가입은 알뜰폰서비스 업체 홈페이지 등에서 별도로 진행해야 한다.

장혜준기자 wshj222@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