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졸업 후 공백기, 득일까 독일까

졸업 후 바로 취업에 성공하기가 쉽지 않은 현실이다. 스펙 준비 등을 위해 취업 전 공백기를 가진 지원자들이 많다. 그러나 기업 10곳 중 4곳은 채용 시 공백기가 긴 지원자를 꺼리는 것으로 나타나 유의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대표 이정근)이 최근 기업 308개사를 대상으로 ‘신입 채용 시 취업 공백기가 긴 지원자에 대한 생각’을 설문한 결과 44.2%가 ‘꺼리는 편’이라고 답했다. 공백기가 긴 지원자를 꺼리는 이유로는 ‘능력이 부족해 취업이 늦어진 것 같아서’(48.5%,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이어 ‘직업의식이 낮을 것 같아서’(36%), ‘취업 눈높이가 높을 것 같아서’(33.1%), ‘스펙 쌓기에만 집착했을 것 같아서’(22.1%), 등의 답변이 뒤따랐다.

또 10곳 중 절반인 51.5%가 ‘졸업 후 1년’부터 공백기가 길다고 판단했고, 기업 10곳 중 9곳(92.6%)은 지원자의 공백기간 활동에 따라 감점을 준다고 밝혔다.

감점을 주는 경우로는 ‘뚜렷한 계획 없이 시간을 보냈을 때’(77%, 복수응답)가 1위를 차지했다. 이 밖에 ‘구체적으로 이룬 것이 없을 때’(40.5%), ‘지원 직무와 전혀 관계 없는 일만 했을 때’(31.7%), ‘취업 목표가 일관되지 않을 때’(24.6%), ‘공백기의 활동 내용을 부풀릴 때’(12.7%) 등이었다.

임민욱 사람인 팀장은 “면접에서 지원자의 공백기는 단골 질문인데 이 때 막연히 ‘취업 준비를 했다’는 식의 대답보다는 지원 분야와 공백기 동안 노력한 분야를 연관시켜 납득시킬 수 있는 답변을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정자연기자 jjy84@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