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평군 가평읍 승안리 용추계곡 일원의 연인산 도립공원내 화장실이 턱없이 부족하고 기존에 설치된 화장실도 제대로 관리되지 않아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군과 주민 탐방객에 따르면 지난2005년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어 2007년5월 기공식을 갖고 보상 및 철거 이주등 본격적인 공사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도립공원 입구 승안리 부터 용추계곡 일원 4㎞구간에 기존에 사용하던 고정식 화장실2곳을 비롯 이동식 간이 화장실 10여 곳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기존에 가평군에서 설치한 간이 화장실과 주민들이 공동으로 사용하던 화장실이 관리와 청소를 제대로 하지 않아 각종 오물과 쓰레기로 악취가 발생되고 있어 이용객들이 큰 불편을 겪고 있다.
더욱 본격적인 산행철을 맞아 주말과 휴일에 수백명이 연인산 도립공원을 방문하고 있으나 용추계곡 상류 2㎞구간에는 단 한곳의 화장실이 설치되지 않아 탐방객 및 주민들이 큰 불편을 겪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지난 주말 연인산 도립공원을 찾은 최모씨(48. 서울시 성북구)는 휴일을 맞아 가족과 함께 연인산 도립공원을 탐방했으나 2㎞이상 구간에 화장실이 없어 30분 이상 불편을 겪었으며 겨우 찾은 간이 화장실이 휴지와 쓰레기로 쌓여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많았다“며” 도립 공원내 화장실 관리가 너무 엉망이라”고 불만을 토로 했다.
이에 대해 연인산 도립공원 관리단 관계자는 지난 2007년 착공과 함께 공원 지역내 주민이주 및 보상 철거 등 공사가 진행되고 있어 현재 화장실 대부분이 가평군과 주민들이 설치해 사용됨에 따라 청소 및 관리 업무는 가평군에서 담당 하고 있다 “며” 본격적인 행락철 이전에 경기도와 가평군 등 관계기관의 업무 협의를 통해 탐방객 불편을 해소 하겠다” 고 말했다.
한편 가평군 관계자는 도립공원 지정되기전에 등산객 불편을 해소 하기위해 10여 곳의 간이 화장실을 설치 오물수거 등 청소관리를 해왔으나 도립공원지정과 함께 도립공원 관리 단이 관리와 운영을 맡고 있어 청소 등 관리에 소홀 했다며”“도립공원 지정되면서 모든 재산 관리와 운영을 경기도와 경기 농림재단의 몫이라며” 해당부서와 협의해 탐방객 불편을 해소하는 방안을 마련 하겠다”고 말했다.
승안2리 이장 오모씨는 “도립공원을 관리하고 있는 경기 농림재단은 지난해 11월 화장실 부족으로 어려움이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사용중인 화장실3개를 철거해 달라고 가평군이 요청해 가평군이 대책없이 철거하는 바람에 화장실 부족 현상이 가중되고 있다며” 도립공원내 화장실 관리와 설치는 경기도와 경기 농림재단이 맡는것이 바람직 하다고 말했다.
가평=고창수기자 kcs4903@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