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사와 꽃가루를 주의하자
자외선과 황사는 피부의 적이다. 특히 봄철은 ‘봄볕에 며느리 내보내고 가을볕에 딸 내본다’는 속담처럼 자외선 지수가 높을 뿐만 아니라 미세먼지, 중금속 등이 포함된 황사가 불어 발진, 발열 등 피부질환이 생길 위험률이 높다.
야외활동 전에는 세안 후 꼼꼼히 피부관리를 한 뒤 보습기능이 첨가된 자외선 차단제와 파운데이션을 발라야 한다. 황사를 대비해 모자와 마스크를 챙기고 꽃가루 알레르기가 있는 이들은 니트보다 꽃가루가 잘 붙지 않는 매끄러운 긴 팔을 입으면 좋다.
차를 타고 이동할 때에는 사방으로 날리는 꽃가루 때문에 호흡기, 기관지에 무리가 갈 수 있으므로 창문을 열어두는 것보다 에어컨을 사용할 것을 추천한다.
또 꽃에 얼굴을 대고 사진을 찍거나 지나치게 가까이서 꽃향기를 맡으면 꽃가루 알레르기가 생길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식중독ㆍA형 간염을 피하자
전체 식중독 환자의 절반 가량이 4~6월에 발생할 정도로 봄철에 식중독 위험이 커 주의가 필요하다. 도시락 등 준비한 음식물은 조리 후 2시간 이내 섭취해야 하며 장시간 보관이 어려울 경우에는 반드시 서늘한 곳에 보관해야 한다.
식중독에 걸렸다고 전문가와 상담 없이 지사제(설사약)를 사용할 경우 장내 독소의 배설을 막아 더 큰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병원에 가서 진료를 받는 것이 좋다.
특히 이 시기에는 바이러스나 세균에 의한 A형 간염이 증가하므로 음식물 섭취 시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음식물은 85도에서 1분 동안 끓인 뒤 먹거나 완전히 익혀 먹는 것이 A형 간염을 예방하는 지름길이다. 또 식사 전 또는 화장실을 이용한 뒤에는 손을 비누로 깨끗이 씻는 등 개인위생에 신경 쓰는 것도 중요하다.
■야외활동 후 휴식은 필수
야외활동을 마친 뒤에는 깨끗이 씻어야 한다. 땀과 먼지로 더러워진 피부를 방치하면 모세혈관 수축과 혈액순환 둔화로 피부노화가 촉진되기 때문이다. 여행 뒤 적당한 휴식과 수면은 지쳐 있는 피부와 호흡기에 다시 힘을 불어넣을 수 있으므로 달콤한 휴식은 필수다.
장혜준기자 wshj222@kyeonggi.com
Tip. 진드기에 물리지 않는 방법
■긴팔, 긴바지, 양말 등 피부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긴 옷 착용
■등산, 트래킹 등 야외활동 시 진드기 기피제를 준비해 뿌릴 것
■작업 및 야외활동 후에 즉시 샤워나 목욕을 하여 진드기를 제거할 것
■작업 및 야외활동 후 작업복, 속옷, 양말 등 세탁할 것
■풀밭 위에 옷을 벗어 놓고 눕거나 잠을 자지 말 것
■풀밭 위에 돗자리를 펴서 앉고 사용한 돗자리는 세척해 햇볕에 말릴 것
■논밭 작업 중 풀숲에 앉아서 용변을 보지 말 것
■작업 시 기피제 처리한 작업복과 토시를 착용하고, 소매와 바지 끝을 단단히 여미고 장화를 신을 것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