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원도심 활성화에 눈을 돌린 것은 올바른 시책 전환이다. 비록 재개발·재건축 등 도시정비 사업이 부동산 경기침체로 사업성을 확보하지 못한 채 정체되자 직권으로 지구지정을 해제함에 따라 원도심 활성화의 계기기 됐지만, 늦은 감이 없지 않다. 그동안 시 당국이 손쉽고 전시적인 신도심 일변도의 개발 확장사업에만 몰두한 것은 균형을 깬 외눈 시책이었다.
그 결과 원도심은 철저하게 소외되고 낙후됐다. 양극화 현상이 극심했다. 교육·문화 등 모든 생활환경이 뒤진다고 느낀 주민들이 정든 동네를 떠나는 지역 공동화 현상을 빚기도 했다. 원도심과 신도심을 분리 차별한 시책오류의 결과다. 따라서 원도심 활성화는 지역의 균형개발이라는 거창한 명분은 차치하고라도 지역주민의 지극히 기본적인 생활권을 보호해야 한다는 측면에서도 인천시가 시급히 해결해야 할 막중한 당면 과제 중의 하나다.
인천시가 지난해 하반기부터 원도심 활성화를 핵심과제로 삼고 ‘원도심활성화추진단’을 구성한 것도 그만큼 현안의 시급성과 중요성을 인식했기 때문일 것이다. 문제는 역동적인 실천과 효율적인 추진이다. 시는 우선 원도심 활성화 사업을 추진할 선도구역을 확정했다. 대상 62개 구역 중 인현, 북성, 박문여고 주변, 숭의 4·7, 주안 북초교 북측, 만부, 삼산2, 천마초교 서측 등 8개 구역이다.
이 지역들은 하나같이 수년 동안 재개발 지구로 묶여 주거환경이 극히 열악하고 낙후된 상태다. 폐허된 동네 환경만큼이나 주민들의 마음도 황폐화된 상태다. 시가 추진하는 ‘맞춤형 정비사업’의 성공여부는 박탈감에 허탈해진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관건이다. 우선 주민들의 마음부터 보듬어 사업에 적극 참여토록 유도해야 한다.
무엇보다도 원도심 활성화 사업의 시책 목표는 원주민들의 정주(定住)의식을 높이는 데 둬야 한다. 재정착률을 높이고 주거안정지수를 높이는 데 모든 정책수단을 동원해야 한다. 다양한 주거계층이 함께 살아갈 수 있는 주거환경 개선은 기본이다.
이와 함께 교육·문화기능을 되살리면서 도시기능을 회복시켜야 한다. 이 과정에서 유념해야할 것은 그 지역 고유의 역사와 문화 등 특성을 살려 주민의 편의성과 정체성을 높여 주는 일이다. 인천 원도심엔 거리와 골목 건물마다 얽힌 사연과 역사·문화적 자원이 풍부하다. 원도심을 활성화 한답시고 인천의 혼이 배어있는 삶의 터전을 뭉개버리는 우(愚)를 범하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