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관계 다시 냉각 정부 “北 입장 철회땐 언제든 회담개최” 대화여지 남겨

남북당국회담이 무산되면서 남북관계가 당분간 냉각기에 접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남북당국회담 무산은 북한이 우리 수석대표를 차관급으로 결정한 것을 문제 삼아 12일로 예정된 남북당국회담이 끝내 무산되면서 여파와 파장도 커지고 있다.

당장 남북당국회담이 무산된 지 하루 만에 판문점 연락 채널이 다시 끊겼다. 북한은 지난 7일 3개월 만에 재가동된 판문점 연락관 채널 가동을 중단했다.

이에 따라 개성공단 문제, 금강산관광 재개, 이산가족 상봉 등 남북 간 현안도 또다시 원점으로 돌아갔다.

이번 남북당국회담에서 주요 의제로 꼽힌 개성공단이 정상화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았지만, 회담이 갑자기 무산되면서 조업 재개를 희망했던 입주기업들은 망연자실한 상태다.

특히 조만간 시작될 장마로 인한 기계·설비 피해가 예상돼 잠정 가동 중단에서 완전 폐쇄 수순을 밟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남북 양측이 수석대표급의 ‘격’을 둘러싼 기 싸움으로 남북 회담이 무산되면서 남북관계는 일단 숨 고르기에 들어가 당분간 회복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통일부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북한에 수정제의를 할 계획이 있느냐’는 질문에 “아니다”라고 말했다. 또 실무당국자 회담과 같은 추가적인 회담 제의 가능성에 대해서도 “현재로서는 검토한 바 없다”라고 답했다.

그러나 북측의 일방적인 불참 통보로 무산된 남북당국회담은 북한이 우리 수석대표의 급을 문제 삼은 입장을 철회하면 언제든지 열릴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강해인기자 hikang@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