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본적 명분 불분명 주민의겸 수렴 필요해
인천시상수도사업본부 통폐합에 일단 제동이 걸릴 전망이다.
18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현재 8개 사업소로 구성된 수도사업소를 5개 사업소로 통폐합하고 일부 통합청사를 신축하는 내용의 조직개편(안)을 추진하고 있다.
중·동부와 남부는 중부수도사업소로, 연수와 남동은 남동부수도사업소로, 부평과 계양은 북부수도사업소로 통합하고 직급을 1단계씩 상향조정하는 것이 골자다. 서부(서구), 강화사업소는 유지한다.
시는 조직 내 관련 기술직렬 인사적체를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영·관리비로 연간 4억 3천만 원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그러나 인천시의회 산업위원회가 조직개편(안)을 보류하라고 요구하고 나섰다. 통·폐합을 해야 하는 근본적인 명분이 불분명하고 주민 불편이 예상된다는 이유에서다.
시의회는 (예를 들어) 신 중부수도사업소를 남구에 두게 되면 중·동구 지역 주민의 현장 민원을 처리하는데 시간과 비용이 더 들 뿐만 아니라 통폐합 이후에는 동 주민센터를 거쳐 민원접수를 하도록 해 이중부담이 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또 통합청사를 신축해야 하는 필요성도 이해하기 어렵다고 보고 있다.
산업위는 18일 조직개편(안) 소관 상임위원회인 기획행정위원회에 통·폐합 필요성을 면밀히 검토하고 주민의견 수렴이 필요하다는 반대 의견을 전달했다.
허인환 산업위원장은 “인사 적체 문제는 현 사업소 내 직급을 상향조정하는 것으로 얼마든지 해결할 수 있다”며 “통폐합 효과도 검증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미경기자 kmk@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