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피부관리법
피서를 즐기다 보면 어느새 타버린 피부로 따끔거림, 통증, 수포 등의 증상 때문에 고생하게 된다. 한여름의 태양 빛은 자외선차단제를 바른다 해도 피부가 타는 것을 완전히 막을 수는 없다. 피부가 탔을때 피부가 손상되기 쉽고 피부노화도 더 앞당기기 때문에 피부가 타지 않도록 예방하는 게 더 중요하다.
햇볕이 가장 뜨거운 시간대인 오전 11시부터 오후 3시까지는 일광욕을 피하고 부득이한 경우는 자외선차단제를 필수로 바른 후 얇은 옷을 걸쳐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이중 보호해야 한다.
이처럼 철저하게 대비해도 피부가 타는 것을 완전히 막을 수는 없다. 그렇다면 벌겋게 탄 피부를 진정시키는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피부가 탔을 때 우선적으로 해야 할 일은 피부의 열을 낮추는 일이다. 피부에 찬물을 끼얹어 피부 온도를 낮추는 게 가장 중요하다. 이때 피부를 문지르거나 바디클랜져 등을 사용하는 것은 오히려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기 때문에 피하도록 하고 찬물로 헹궈 내듯이 씻어주는 게 좋다. 씻은 후에는 찬 수건이나 얼음 주머니로 냉찜질을 수시로 해주면 피부 진정에 도움이 된다. 또 물을 많이 마셔서 충분한 수분공급을 하는 것도 잊지 말아야 한다.
이 밖에도 피부를 진정시킬 수 있는 천연 팩을 사용하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다.
피부 진정 효과가 뛰어난 감자팩은 여름철 피부가 탔을 때 잘게 갈아낸 감자를 밀가루와 섞어서 피부에 발라주면 피부의 열을 내리고 진정시키는 효과가 탁월하다.
오이는 차가운데다가 수분이 많아서 피부를 서늘하게 만들고 진정, 보습효과가 우수하다. 오이를 잘게 썰어서 탄 피부에 위에 올려 놓고 15분 정도 후 가볍게 헹구기만 하면 피부 진정효과를 볼 수 있다.
가장 쉽고 간단한 방법은 바로 우유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냉장고에 넣어둔 차가운 우유를 화장솜에 묻혀서 피부가 탄 곳에 올려두면 되는데, 우유는 피부를 진정시킬 뿐만 아니라 피부를 뽀얗게 만드는 효과도 있으니 휴가철 검게 그을린 피부를 환한 피부로 돌려줄 수 있다.
박준상기자 parkjs@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