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 나근형 인천시 교육감이 검찰에 소환됐다. 피의자 신분이다. 검찰이 교육감 인사비리 의혹에 대해 수사를 벌인지 5개월만이다. 지난 26일 소환에서 12시간 넘게 강도 높은 조사를 받은 데 이어 29일 두 번째로 소환돼 조사를 받았다. 하지만 나 교육감은 “나는 모르는 일”이라며 비리 혐의를 완강히 부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으로 검찰이 교육감 인사비리 혐의 사실을 얼마나 밝혀낼지 신병처리 결과가 주목 된다.
인천지검 특수부(신호철 부장검사)는 나 교육감의 소환시기를 늦추면서 보강수사를 벌여왔다. 검찰의 수사초점은 두 갈래다. 나 교육감이 인사 대가로 돈을 받았는지, 뇌물수수 여부가 그 중 하나다. 다른 하나는 측근을 승진시키기 위해 관계 직원에게 근무성적평정(근평)을 조작하도록 지시하고, 징계 받은 직원의 승진후보자 순위를 높이도록 압력을 행사했는지 여부 등 직권남용 부분이다.
검찰은 그동안 시교육청 직원 20여 명을 불러 인사비리 관련 진술을 들어왔다. 이 과정에서 뇌물공여자의 진술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나 교육감의 최측근으로 근평 조작과 관련, 직원들로부터 2천여만원을 받은 혐의로 이미 구속 기소된 전 행정관리국장과 또 함께 구속된 인사팀장 등의 진술을 토대로 뇌물수수 부분을 집중적으로 추궁했으나 나 교육감의 비리 혐의 부인은 의외로 완강한 모양이다. 나 교육감의 비리 혐의 부인은 충분히 예견된 일이긴 하나 비리 혐의 입증에 자신감을 피력해온 검찰로선 한층 더 치밀한 수사의 필요성을 느꼈을 것이다.
검찰 수사의 단초가 된 감사원 감사에선 나 교육감이 특정인의 근무평정 조작 등 승진인사에 부당 개입한 사실을 확인한 상태다. 측근 5급을 승진시키기 위해 4급 승진대상자로 미리 내정하고 그에 맞춰 승진 후보자 명부를 작성한 뒤 근무평정을 하도록 관계 직원에게 지시했다는 것이 감사 결과다. 교육감의 근평 조작 지시는 2010년 상반기부터 2011년 하반기 까지 3차례나 된다. 이 때 근평이 상향 조작된 직원은 10여명에 이른다는 것도 드러났다.
이 같은 감사결과 말고도 교육계 주변에선 인사와 관련된 갖가지 소문들이 파다했다. 교육장 발령엔 1천만~5천만원, 그 외의 주요 보직은 500만~1천만원의 돈이 오간다는 얘기가 나돌기도 했다. 교육계에선 이를 괜한 소리가 아니라는 듯 고개를 끄덕이는 인사가 적잖았다. 교육계는 물론 시민사회는 나 교육감이 12년 간 인천교육의 수장으로 군림하면서 빚어진 인사비리의 척결을 한결같이 바라고 있다. 이번 검찰 조사가 인사비리의 먹이사슬을 뿌리 뽑는 계기가 돼야 한다. 그 결과에 따라 응분의 사법처리가 뒤따라야 함은 물론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