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론 안 된다” 인천AG 조직위의 환골탈태를 요구하는 시민의 소리가 높다. 13개월 앞으로 다가온 2014 인천AG(내년 9월19일~10월4일)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서다. 2014 인천AG의 테스트 이벤트로 열렸던 2013 인천 실내·무도AG 대회 성과가 만족스럽지 못하다는 평점이 조직위 혁신 요구의 기폭제가 되고 있다.
인천시 재정위기 비상대책 범시민협의회(시민협의회)는 최근 인천AG 조직위의 독단적인 운영 행태에 대해 공개적으로 비판했다. 시민협의회는 인천시의 재정위기 극복을 위해 지난해 6월 진보·보수단체들이 총망라돼 연합 출범한 지역의 대표적인 시민단체다. 시민협의회는 성명을 통해 그동안 인천지역 시민사회가 여러 차례 지적해온 AG조직위의 독선주의적 운영에 대한 우려가 2013 인천 실내·무도AG 대회에서 드러났다며 질타했다.
그러면서 인천시와 조직위 간 소통 부재의 원인은 단순한 문제가 아니라 시측이 주도적으로 조직위에 관여하지 못하는 구조적인 문제에 있다고 지적했다. 사실 그동안 조직위의 운영 행태를 보면 사무처 등 핵심 부서엔 문화관광체육부에서 파견한 인사를 배치하고, 시 파견 공무원은 조직위의 결정 사항만을 처리하는 곁가지에 불과했다. 조직위의 우월적 의식이 지역정서를 무시, 물과 기름 같은 겉돌기 관계를 형성했다.
그동안 조직위의 유아독존적 행태는 여러 곳에서 나타났다. 인천 실내·무도AG의 홍보 부족과 대회 운영 미숙으로 관람객 동원과 흥행에 실패했음에도 여론의 비판은 아랑곳없이 대회 후 직원들에게 성과급을 지급했다. 개회식 유료 입장권은 물론 각 경기장 입장권 총판매량의 48.6%를 인천시 산하 공무원들에게 강매하다시피 팔았다. 그러니 각 경기장 관람석은 텅텅 비어서 한산할 수밖에 없었다. 폐회식 땐 이 같은 현상을 우려, 관중을 동원하다 잡음을 일으키기도 했다.
어디 그 뿐인가. 조직위는 대회 성과를 평가 한답시고 자화자찬 식 자체 평가보고서를 작성해 물의를 빚기도 했다. 애초 각 경기장의 관람석을 낮춰 잡는 방법으로 입장권 판매 목표를 초과 달성했다고 꼼수를 부렸다. 이제 조직위는 변해야 한다. 실내·무도AG 대회에서 드러난 문제점들을 꼼꼼히 챙기고 보완해 2014 AG대회를 차질 없이 준비해야 한다.
AG특별지원법 개정안 역시 국회가 처리해야할 일이긴 하나 그렇다고 남의 일 보듯 해선 안 된다. 인천시장의 조직위 공동위원장 추대도 검토해볼만 하다. 2014 인천AG 대회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인천시와 보다 유기적이고 긴밀한 효율적 협업체제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