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정부 정상포럼’ 세션서 녹색경제 등 5대 목표 제시
수원시 등 전국 18개 지방정부가 “지속가능한 지역공동체를 향한 새로운 도전을 시작한다”는 선언문을 채택했다.
4일 생태교통 페스티벌이 열리고 있는 수원시 행궁동 국제회의장에서 ‘지속가능발전 전국대회’에 참가한 지방정부 시장·군수와 환경·교통·주민자치 등 지방정부 관계자들은 ‘2013 한국지방정부 정상포럼’ 세션에서 이같은 뜻을 모았다.
이번 대회에는 경기도에서 수원·부천·안산시를 비롯, 강원도 속초시·횡성군, 서울시 은평구, 인천시 남구·남동구·동구·부평구, 울산시 동구·북구, 전남 순천시·곡성군·전북 익산시, 충남 아산시·서천군 등 기초자치단체와 광역자치단체에서 충청남도가 참가했다.
선언문은 △자립과 공생을 추구하는 녹색경제공동체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생명공동체 △차별 없이 공평한 이웃공동체 △참여와 책임이 조화로운 자치공동체 △미래세대를 배려하는 미래공동체 등을 지속가능 지역공동체 5대 목표로 제시했다.
지방정부들은 또 에너지와 식량 자립기반의 지역자립경제, 향토기업이 존중되고 자연과 공생하는 녹색지역경제, 소통과 연대의 이웃관계, 저탄소 생활양식의 기후변화 대응 등 8개 분야 과제에 예산과 정책역량을 집중한다고 선언문을 통해 밝혔다.
지속가능발전 전국대회 개막식에서는 안희정 충남지사가 ‘지속가능한 지역공동체를 향한 비전과 추진과제’라는 제목으로 강연을 했으며 대회는 5일 지역자립경제, 마을만들기, 생물다양성, 에너지 자립, 동네 주민자치 등 8대 분야 주제별 워크숍을 한 뒤 6일 대회 성과와 결의문을 발표할 예정이다.
한편, 지난 2일부터 열린 ‘2013 생태교통 수원총회’는 ‘지속가능한 도시교통을 전 세계에 확산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은 ‘생태교통 수원총회 선언문과 생태교통에 대한 충동(EcoMobility Impulse)’을 채택하고 이날 폐회했다.
선언문은 “대다수 국가 도시가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 자동차를 선호하면서 도시구조와 도시인의 삶을 파괴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미래 지향해야 할 교통 개념은 걷기, 자전거, 수레, 카셰어링 등 지속가능한 경제적 이동 수단”이라고 제시했다.
이지현기자 jhlee@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