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안성 등 주변 농가까지 살처분·방역에도 수그러들지 않아 환경운동연합 “공장식 밀집 축산 환경부터 개선해야” 효율성 논란
지속적인 방역활동과 예방적 살처분에도 조류인플루엔자(AI)가 여전히 기승을 부리면서 예방적 살처분에 대한 효율성 논란이 일고 있다.
9일 경기도 등에 따르면 경기지역에서는 지난달 21일 시화호 주변 철새 분변에서 AI가 검출된 데 이어, 화성 서신면 종계농가 1곳과 수원 서호천 폐사 큰기러기에서 AI가 확진됐다.
지난 6일 의심신고 후 8일 고병원성이 확정된 화성시 온석동 종계농가를 포함하면 모두 4곳에서 AI가 검출됐다.
AI는 농가 2곳과 철새 분변 및 사체에서 검출된 것으로 이에 따라 도는 농가 2곳에서 8만8천마리의 가금류를 살처분하는 한편, 주변 13개 농가 20만여마리의 가금류도 예방적 살처분을 실시했다.
방역당국은 지난달 28일 화성시 서신면의 종계농가에서 발생한 AI에 의해 주변 농가는 물론이고, 농장주가 함께 운영하는 안성의 종계농가에서도 예방적 살처분을 실시한 바 있다.
그러나 계속되는 방역활동과 예방적 살처분에도 AI는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고 있어 AI 발생지역 인근 가금류농가에 대한 예방적 살처분이 효율성 논란에 휩싸였다.
철새에 의한 감염으로 추정되는 상황에서 발생 농가는 물론, 인근 농가까지 예방적 살처분을 진행하고 있지만 AI가 지속 발병하고 있기 때문이다.
앞서 충북 진천군은 정부의 예방적 살처분 명령에 반기를 들며 갈등을 빚기도 했었다.
환경운동연합 등 5개 환경ㆍ동물단체도 지난 6일 기자회견을 갖고 “세계동물보건기구(OIE) 가입국으로서 지난 2003년부터 AI에 의해 2천500만마리의 가금류를 살처분 했지만, 정작 가금류 농가의 공장식 밀집 축산 환경에 대해서는 개선을 하고 있지 않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철새 뿐 아니라 각 가금류 농장 간의 접촉으로도 전염될 수 있어 방역활동과 살처분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도는 화성시 서신면 종계농가 AI 발병 때와 달리, 이번에는 반경 3㎞ 이내에 20농가 65만6천마리, 10㎞ 이내에 55농가 74만6천마리의 가금류에 대해서 살처분을 계획하고 있지 않다.
김창학ㆍ안영국기자 ang@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