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선 前 의원 경기지사 출마 속 10여명 자천타천 거론 정당, 인물 없어 고심… 정치참여 현실적 제도 마련 시급
양성평등 분위기가 사회전반에 자리잡고 있는 가운데 오는 6ㆍ4 지방선거 단체장 선거에 여성의 진출이 부진하게 이뤄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여성의 정치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13일 각 정당에 따르면 김영선 새누리당 전 의원이 경기지사 선거 출마를 공식 선언한 가운데 10명 안팎의 여성 주자들이 지방선거 기초단체장 선거 입후보예정자로 이름이 거론되고 있다.
새누리당에서는 신계용 전 중앙당 여성국장이 이날 과천시장 선거 출마를 선언하며 후보군 대열에 합류했다.
용인에서는 새누리당 중앙당 차세대여성위원장을 거친 조양민 경기도의원이 유력한 차기 용인시장 후보군으로 꼽히고 있다.
이밖에 여주시장 후보로는 정숙영 국립청소년디딤센터 원장이, 화성시장 후보로는 금종례 경기도의원, 성남시장 후보로는 박영숙 전 분당구청장의 이름이 오르내리고 있다.
민주당에서는 고양시장 출마를 준비 중인 박윤희 고양시의회 의장이 오랜 시의원 경험을 바탕으로 소신있는 여성시장 역할을 해내겠다는 각오를 다지고 있다.
남양주시장 후보로는 이삼순 경기도의원, 동두천시장 후보로는 심화섭 시의원, 오산시장 후보로는 최인혜 시의원의 출마가 점쳐지고 있다.
통합진보당에서는 3선의 홍미라 하남시의원이 출마여부를 놓고 고심 중이다.
하지만 각 정당에서는 이처럼 지자체장 출마를 검토하고 있는 여성 입후보예정자들이 있음에도 내심 유력한 여성 후보가 없다며 고심하는 눈치다.
이는 상대적으로 남성 후보군의 수가 여성 후보군에 비해 월등히 많은데다 실제 본선거에서 상대 후보에 비해 경력면에서 월등한 경쟁력을 가진 여성후보를 찾기 어렵다는 평가에 따른 것이다.
이로 인해 오는 지방선거 지자체장 본선거에서 입후보하는 여성 후보의 수는 현재 거론되고 있는 여성 입후보예정자 수에 비해 대폭 줄어들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어서 자칫 여성 예비후보군들이 들러리로 전락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 또한 제기되고 있다.
도내 여성단체들은 지난 2010년 지방선거 당시에도 각 정당에 지자체장 후보의 20%를, 지방의원 후보의 30%를 여성 후보로 공천할 것을 요구했지만 이같은 기준은 지방의원 선거 또는 비례대표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돼 왔다.
이런 탓에 지난 2010년 지방선거에서 당시 한나라당과 민주당 소속의 도내 지자체장 여성후보는 단 한명도 없었으며 진보신당과 무소속 후보로만 본선거에 나섰다.
이에 일부 정당에서는 당헌당규에 여성 후보의 공천을 30% 이상하도록 하는 내용을 규정하고 있지만 각 정당이 여성후보 물색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다 지역정서를 외면하고 당선 가능성을 낮추는 것이라는 반대 논리 속에 실제 이행까지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따라 여성의 정치입문을 돕기 위한 현실적인 제도가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한 정당 관계자는 “여성들의 지방선거 참여 확대를 위해 지방선거아카데미 수강비용을 경감해주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지원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아직 큰 성과를 얻지는 못하고 있다”며 “무엇보다 여성들도 큰 정치를 할 수 있다는 사회적 분위기가 조성될 수 있도록 근본적인 대책이 만들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정진욱기자 panic82@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