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企 제품, 국내 판매 ↑ㆍ수출 ↓

민간소비 위축에도 10년간 내수 의존도 4.2%p 늘어

내수 불황이 장기화하고 있지만, 중소기업의 내수 의존도는 더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4일 대한상공회의소(회장 박용만)의 ‘중소기업 제품의 판로확대방안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중소기업 제품의 국내 판매 비중은 2003년 81.8%에서 2012년 86.0%로 10년간 4.2%p 높아졌다. 반면 수출 비중은 18.2%에서 14.0%로 떨어졌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민간소비 비중은 2003년 55.7%에서 2013년 50.6%로 낮아져 내수 불황이 이어지는 가운데 중소기업의 내수 의존이 더 커졌음을 알 수 있다. 또한, 2003년부터 2012년 사이 10년간 중소기업 제품 총 판매액은 2.2배 증가했고, 국내 판매는 2.3배, 수출은 1.7배 증가했다.

이 같은 중소기업의 내수 의존 심화는 대기업의 글로벌 아웃소싱 확대, 국내 소비자의 해외 직접구매 증가, 저출산 기조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중소기업 매출로 연결되는 중간부품 국산화율은 2005년 78.2%에서 2010년 74.7%로 낮아졌다. 반대로 해외 현지생산기업의 비중은 6.7%에서 16.7%로 대폭 올랐다. 수출용 중간부품을 해외에서 조달하는 비중이 그만큼 커진 셈이다.

또 온라인 해외 직접구매는 2011년 560만 건에서 2013년엔 1천100만 건으로 2년 만에 배 가까이 늘었다. 이 또한 중소기업 제품의 입지를 위협하는 요소로 꼽힌다.

전수봉 대한상의 조사본부장은 “중소기업 판로 개척은 생존과 직결된 문제”라며“내수시장에만 크게 의존한 판로구조가 개선되지 않는 한 중소기업의 성장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라고 지적했다.

이를 해결하려면 대한상의는 중소기업의 해외 판로 개척을 위한 방안으로 제품 기획부터 판매까지 전 과정에 외부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팔릴 제품을 생산하는 체제’를 갖추는 ‘마케팅 코디네이터 사업’과, 정부 차원의 수출 인큐베이터 사업 활성화를 제안했다.

정자연기자 jjy84@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