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 매치’로 가는 도지사 선거 ‘경선 룰’ 최대 변수

양당 아직까지 방식 못 정해

6·4 지방선거 경기지사 여야 후보들의 윤곽이 드러나면서 당내 경선방식이 최대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새누리당 남경필 의원과 통합신당의 김상곤 전 경기도 교육감이 뒤늦게 여야 경기지사 후보로 가세하면서 당내 경선 방식이 확정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5일 현재 새누리당에서는 남경필(수원병)원유철(평택갑)정병국 의원(여주·양평·가평)과 김영선 전 의원, 민주당은 원혜영(부천 오정)김진표 의원(수원정)과 김창호 전 국정홍보처장, 김상곤 전 도교육감 등이 경기지사 경선 빅매치를 예고하고 있다.

4명이 나선 새누리당은 홍문종 사무총장(의정부을)이 5일 “지방선거 전략공천은 없다”고 밝히면서 경선이 기정사실화됐다. 하지만 4명의 후보군들 간 경선 방식을 놓고 미묘한 시각차를 보이고 있다.

원유철 의원은 이날 남 의원의 경기지사 출마 선언에 대해 성명서를 내고 “‘무늬’만 경선이 아닌 도민들이 직접 참여해 가장 경쟁력 있는 후보를 선출하고 축제의 장이 되는 아름다운 경선을 만들자”며 권역별 순회 경선을 제안했다.

정병국 의원도 한 라디오방송에 출연해서 “남 의원은 정치개혁을 함께했던 정치적 동업자”라면서도 “경선과정에서도 새로운 정치 경선의 모습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정 의원은 또 “당이 대선 공약 파기를 감수하면서까지 상향식 공천의 틀을 마련한 것은 정치혁명이지만 벌써부터 여기저기서 전략공천 이야기가 흘러나오고 있다”면서 “만약 이러한 대국민 약속을 제대로 지키지 못하고 정치혁명적 상향식 공천을 제대로 실행하지 못한다면 우리 모두 망하는 길”이라고 주장했다.

남 의원도 역시 경선과 관련 “당이 정하는 대로 그대로 따르겠다”면서 “정정당당하게 승리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야권 후보들 사이에서는 경선방식이 최대 관건이다.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이 창당하는 ‘제3지대 신당’의 경선 방식 등이 아직 확정되지 않으면서 예비후보들 간 셈법이 복잡해졌다.

일찌감치 경기지사 후보 출마를 선언한 민주당 김진표·원혜영 의원은 ‘공정한 경선’을 주장하고 있다.

원 의원은 김 전 교육감의 출마선언과 관련 “통합신당이 새 정치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공정하고 혁신적인 통합경선이 필수”라며 “완전 국민참여경선과 순회경선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도 성명서를 통해 “1천250만 도민의 삶의 질을 실질적으로 개선시킬 정책을 두고 치열한 경쟁을 벌여야 한다”며 “공정하고 깨끗한 경선으로 본선에서 이길 수 있는 후보를 선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그러면서 국가선거관리위원회에 경선관리를 맡기자고 제안했다.

이에 김 전 교육감은 “통합 신당이 결정하는 결과에 따르겠다”는 원칙적인 입장이다.

김 전 교육감은 이날 한 라디오 방송과 인터뷰에서 “당에서 후보결정방식을 정하면 그것을 존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해인ㆍ김재민기자 hikang@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