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공천’ 명분은 좋지만… 인천 야권 “후보 난립 이러다 공멸”

민주당과 새정치연합, 정의당 등이 기초단체 선거 무공천 방침으로 후보 난립 등 부작용(본보 6일 자 1면)이 나타나면서 야권 필패론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 때문에 일부 출마자나 야권 지지자 사이에서 후보 단일화와 무공천을 대신할 내천제를 대안으로 내세우는 등 의견이 분분해지고 있다. 가장 설득력을 얻는 대안은 후보 단일화 방안이다.

무공천 방침을 정한 이상 당이 공식적으로 나서 출마에 간섭하기는 어렵지만, 교육감 선거와 같이 시민자치모임을 중심으로 단일화를 유도하거나 후보자가 직접적으로 단일화에 찬성한다면 조율이 가능하다는 게 중론이다.

민주당 인천시당도 최근 당 안팎으로 단일화 분위기를 만들어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하기도 했다.

하지만, 후보 단일화가 완벽한 방법은 아니다. 단일화 후보가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의 통합신당(가칭)으로 출마하더라도 정의당 출마자와의 단일화는 별개다.

또 현행법상 무공천으로 출마하려면 당을 탈당해 무소속으로 출마해야 하기 때문에 당과 상관없는 무소속 후보자들과의 차별화도 문제다.

기초단체장 출마자의 경우 대부분 지역 내 인지도가 있지만, 기초의회 출마자들은 현역의원조차 인지도가 높지 않아 무소속 출마자와의 구분이 더 어렵다.

이 때문에 무공천의 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내천제를 도입해 단일화를 뒷받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일고 있다.

공직선거법 제84조에 따르면 무소속 후보자는 정당 당원 경력을 밝힐 수 있도록 했다. 또 정당이 무소속 후보자를 지지(내천제)할 수 있고, 지지를 받은 후보자는 선거공보 등에 이를 밝힐 수 있다. 박원순 서울시장이 보궐선거 당시 민주당의 지지를 받아 이를 선거에 활용한 예도 있다.

그러나 민주당 내부에서는 무공천의 취지를 살릴 것이냐, 내천제의 실리를 택할 것이냐를 두고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불리한 선거판도를 뒤엎으려면 내천제를 해야 한다는 찬성파와 자칫 무늬만 무공천이 될 수 있다는 반대파의 의견이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무엇보다 야권이 명분을 버리고 실리를 택한다면 역풍을 맞을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기 때문에 쉽지 않은 선택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신동근 민주당 인천시당 위원장은 “무공천 방침은 기득권을 버리겠다는 국민과의 약속”이라며 “공천을 하지 않겠다고 하고 선거에서 불리하다는 이유로 내천을 한다면 무공천의 순수성을 오해받을 수 있다”고 조심스러운 입장을 전했다.

신 위원장은 또 “정치공학적으로 보더라도 지금 시기에 후보단일화나 내천제를 논의하기에는 조금 이른 듯싶다”며 “무공천 약속을 지키면서 불리함을 극복해나가는 것이 이번 선거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미경기자 kmk@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