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전화번호 1개당 10원, 성명ㆍ주민번호ㆍ연락처ㆍ주소까지 있으면 1건당 10~20원. 최근 의정부경찰서에서 10원이나 20원을 주고 인터넷 브로커를 통해 개인정보를 사들여 불법대출업을 해 7천800만원의 부당이득을 취한 대부업체 운영자가 구속됐다. 이들이 사들인 10원짜리 개인정보는 무려 115만4천개, 20원짜리 개인정보는 2만8천여건이었다. 우리가 너무도 소홀히 하고 있는 개인정보가 누군가에게는 엄청난 돈벌이가 되는 것이다.
그야말로 이제는 한국사회에서 개인정보가 진정 개인만의 정보인지를 의심케 하고 있다. ▲1917년 10월15일 아침, 파리 교외에서 마타하리는 총살됐다. 그녀는 총살 직전 씌우려던 눈가리개마저도 거부하고 12명의 사수 앞에서 알몸으로 총을 맞았다. 당시 마타 하리를 재판한 프랑스 판사는 그녀가 독일에 판 정보가 프랑스 군사 5만 명의 목숨을 위험에 빠뜨리는 정도라고 판결하고 사형을 선고했다.
마타하리의 본명은 마가레타 거트루이다 젤러(Margar etha Geertruida Zelle). 네덜란드 출신의 무희로 1차 대전 당시 프랑스와 독일을 오가며 정보를 판 이중간첩 혐의였다. 당시 마타하리는 군사정보 뿐만아니라 군 고위직들의 개인정보까지 입수, 이를 적절히 이용했던 것으로 유명하다. 그래서 아직도 그녀가 진정 이중첩자였는지는 논란이다.
▲과거 정보는 국가나 조직의 안위와 흥망을 좌우하는 전쟁터에서 가져야 할 유리한 요소로 여겨져 정보원 혹은 첩보원들은 개인정보까지 파헤쳤고 국민들에게는 왠지 모를 흠모까지 받았다. 정보는 잘 관리되어야 하지만, 그보다 먼저 잘 활용되어야만 그 가치가 있는 것이다. 정보통신 강국 한국의 개인정보는 경쟁력보다는 돈벌이 수단에 불과한 것 같아 그저 씁쓸하다.
정일형 사회부 부국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