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지방선거 앞두고 조직관리 비상

당협ㆍ지역위원장 ‘줄사퇴’… 신당창당 ‘후유증’ 여야 경기도당, 조직관리 ‘비상’

새누리당과 새정치민주연합 경기도당이 6ㆍ4 지방선거를 앞두고 잇따른 당협ㆍ지역위원장 사퇴와 신당창당에 따른 후유증 등으로 조직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16일 새누리당 도당에 따르면 도내 52곳의 당원협의회 중 13곳의 당협위원장이 이번 지방선거 출마신청을 하며 사퇴서를 제출했다. 지방선거 출마 공천을 신청하는 당협위원장들은 공천신청서를 중앙당 또는 도당에 제출하면서 당협위원장 사퇴서를 함께 동봉하게 돼 있기 때문이다.

경기지사에 출마하는 남경필(수원병), 원유철(평택갑), 정병국 의원(양평 가평 여주)과 김영선 예비후보 등 4명과 도내 기초단체장 선거 및 광역의원에 출마하는 9명의 당협위원장이 사퇴서를 제출, 사고지역으로 분류됐다.

여기에 기존 사고지역인 △안산 상록갑 △화성을 △군포 △시흥을 △파주갑 △김포 등 6개를 포함할 경우 사고지역은 18곳으로 늘어난다. 도내 국회의원 지역구가 52개인 점을 감안하면 무려 36.5%가 사고지역이 된 셈이다.

이 때문에 해당 지역에서는 지방선거가 80여일밖에 남지 않은 가운데 당협위원장 사퇴로 인한 조직관리에 어려움이 발생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한 당협위원회 소속 예비후보자는 “지방선거는 경기지사, 시장, 도의원, 시ㆍ군의원 등 다양한 선거가 한 번에 치러지는 선거이기 때문에 무엇보다 조직적인 선거준비를 해야 한다”며 “그런데 이렇게 많은 당협위원장들이 사퇴하면 선거준비를 하기에도 시간이 부족한 상황에서 당원협의회를 재정비하는 데 시간을 할애해야 하기 때문에 출마자들은 아무래도 손해를 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오는 18일 창당하는 새정치민주연합 경기도당도 신당 창당으로 인한 각 지역 조직정비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민주당의 경우 도내 52개 지역위원회 중 3개 지역위원회(수원을, 평택갑, 이천) 위원장이 공석이고 1곳(평택을)은 대행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민주당은 앞서 지난달 사고지역위원회에 대한 후임 위원장 공모를 진행했지만 이후 통합신당 창당 발표와 맞물리면서 공모 절차도 올스톱된 상태다.

더욱이 새정치민주연합 창당 과정에서 각 지역위원회가 기존의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이 지역위원장을 각각 임명하는 공동위원장 체제로 운영될 가능성이 크게 점쳐지면서 알력다툼에 따른 조직 내분 사태도 우려된다.

새정치민주연합 관계자는 “지방선거가 임박한 상황이기 때문에 양측에 지역위원회를 배분하는 방식보다는 일단 지역별로 공동위원장 체제로 운영될 가능성이 높다”며 “아무래도 기존 지역위원회에 새로운 세력이 합류하는 것이기 때문에 조직을 정비하는 데 어느 정도의 진통은 불가피한 현상”이라고 말했다.

정진욱ㆍ송우일기자 panic82@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