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수의계약 부작용 담당구역 프리미엄 거래 업체간 갈등 악순환 반복 내년부터 공개입찰 선정
과천시가 청소대행업체의 나눠먹기식 관행에 칼을 빼 들었다.
20일 시는 청소대행업체의 나눠먹기식 관행을 없애기 위해서 기존의 수의계약 방식에서 공개입찰 방식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지적(본보 2013년 10월11일 10면)에 따라 내년부터 계약방식을 공개입찰로 바꾸기로 했다고 밝혔다.
시는 지난해 청소대행업체의 운영실태를 파악한 결과 동별로 나눠진 구역에 대해 매매가 이뤄진 사실을 확인했다며 이같은 불합리한 운영시스템을 근절하기 위해 1년 동안 유예기간을 거쳐 내년부터 공개입찰 방식으로 청소대행업체를 선정할 계획이다.
시는 그동안 매년 16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개운환경과 현대환경, 대정위생, 신영개발, 과천산업, 정계환경 등 6개 업체에 쓰레기 수거 등 청소대행사업을 위탁해 왔다.
이와 함께 시는 사업비 지원 외에 쓰레기 수거차량과 압축차량 등 18대의 장비를 무료로 지원해 과천시 지역 내 청소업체는 사업 리스크 없이 영업을 해 온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이들 업체 중 일부 청소대행업체는 담당구역을 넘기는 조건으로 위탁금의 2∼3배가 넘는 권리금까지 받고 매매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업체 간의 갈등은 더욱 심화되고 있었다.
또한 시에서 지원하는 사업비가 청소대행업체의 구역 규모와 관계없이 2억원에서 4억원까지 큰 차이를 보이며 청소대행업체 간 갈등을 빚어왔다.
실제 6개 업체 중 과천산업은 문원동과 과천동 2개 동을 담당하면서 4억8천만원의 위탁금을 받고 있으며 대정위생은 별양동 구역을 맡으면서 3억5천만원의 위탁금을 받고 있다.
반면, 개운개발과 현대환경, 신영개발은 중앙동과 갈현동, 부림동을 각각 담당하면서 2억2천만원에서 2억7천만원의 위탁금을 받고 있으며 정계환경은 담당구역과 위탁금도 없이 일반업체의 쓰레기만 수거하는 등 비합리적인 방식으로 운영돼 왔다.
시는 청소업체의 나눠먹기식 관행이 지속되자 기존의 수의계약을 폐지하고 공개입찰 방식으로 업체를 선정키로 결정했다.
시 관계자는 “청소대행업체의 나눠먹기식 운영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했다”며 “올해 1년 동안 유예기간을 거쳐 내년부터 공개입찰방식으로 업체를 선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과천=김형표기자 hpkim@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