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 비확산 문제 등 심도있는 논의 예상 韓-日 정상, 첫 만남… 관계개선 ‘촉각’
한ㆍ미ㆍ일 정상회담이 25일(우리시각 26일 새벽)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린다. 이에 따라 북핵 문제와 한일 역사갈등 문제의 전기가 마련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주최하는 형식으로 열리는 이번 회담에서 박근혜 대통령과 아베신조 일본 총리 등 3국 정상은 북핵 및 핵 비확산 문제에 대해 대화를 나눌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회담은 3자 회담 형태이기는 하지만 박근혜정부 출범 이후 한일 양국 정상이 처음으로 마주하는 것이다.
아베 총리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 및 일본 정부 관계자의 강경 발언 등으로 한일관계가 험로를 걷고 있는 만큼 이번 회담을 통해 화해의 물꼬를 틀 수 있을지 주목된다.
3국 정상은 핵안보 정상회의가 ‘핵의 평화적 이용과 비확산’을 주제로 열린 만큼 회담을 통해 북핵 문제 등에 대해 심도있는 의견을 교환할 것으로 관측된다.
특히 지난 2008년 12월 수석대표 회의 이후 개점 휴업 상태인 ‘6자 회담’과 관련, 3국 정상이 활성화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지 관심이다.
이와 관련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도 24일 기자들과 만나 “3자 정상회담의 논의 대부분이 북핵문제에 할당될 거 같다. 비율은 80∼90%정도”라면서 “북핵 현 상황을 평가하고 북한의 비핵화를 달성할 수 있는 3자 차원의 심도있는 의견교환과 대응방안들이 논의된다”고 설명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또 “이외에 한ㆍ미ㆍ일 정상이 각각 가져올 내용은 3국 모두 민감한 내용들이 있어서 공개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언급했다.
일본의 과거사 도발로 말미암아 한일 정상회담에 응하지 않았던 우리 측이 3자 회담을 전격 수용한 것은 오바마 대통령이 다음달 한일 순방을 앞둔 가운데 미국 측이 관계 개선을 요구했던 것이 크게 작용했다는 게 중론이다.
아울러 아베 총리가 일본 의회 답변에서 군위안부 강제동원을 인정하고 사죄한 고노담화의 계승 입장을 밝힌 것도 요인으로 평가된다.
다만 아베 총리의 최측근인 하기우다 고이치 자민당 총재 특보가 한ㆍ미ㆍ일 3자 정상회담이 결정된 뒤 “새로운 사실이 나오면 그것에 근거해 그 시대의 새로운 정치담화를 발표하는 것은 전혀 이상하지 않다”며 고노담화 수정 가능성을 다시 주장, 한ㆍ미ㆍ일 3자회담의 분위기를 깨는 발언을 해 회담 결과에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한편 이번 3국 정상회담에는 우리 측에서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 주철기 청와대 외교안보수석 등이 배석한다.
송우일기자 swi0906@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