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 야산 무인항공기 청와대 촬영한 것으로 드러나

파주의 야산에서 발견된 무인항공기가 청와대를 촬영한 것으로 드러났다.

비행 금지구역인 청와대 상공이 무방비로 뚫린 셈이어서 국가 안보에 심각한 허점을 드러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현재까지 이 무인항공기의 정체에 대해 확인된 것은 거의 없다. 이 항공기를 조사하고 있는 기무사 역시 민간에서 만든 무인항공기라는 답만을 내놓고 있다.

때문에 어떤 목적으로 만들어져 서울 상공을 휘젓고 다니며 청와대 등을 촬영했는지 구체적 내용 파악을 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그러나 상당수 전문가들은 무인항공기의 동체 크기가 2m를 넘고 카메라가 장착돼 있었던 만큼 민간에서 만들 수 있는 수준은 넘어선다고 판단하고 있다.

만약, 무인항공기를 북한에서 띄운 것이 확인될 경우 남북관계에 심각한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높다.

신인균 자주국방네트워크 대표는 “초경량 항공기라 하더라도 비행금지 구역인 청와대 부근을 날아다녔다면 방공망이 뚫린 것으로 봐야한다”라며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 등지에서 자살폭탄테러에 활용되는 IED(사제 급조 폭발물·Improvised explosive device)를 카메라 대신 장착해 떨어뜨렸다면 대통령도 위험에 처할 수 있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박민수기자 kiryang@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