닻 올린 ‘새정치민주연합’ 의미와 전망
계파 갈등 봉합ㆍ20%대 하락 지지율 올리기 등 난제 산적
광역단체장 ‘공천룰’ 확정도 관건… 지방선거 첫 시험대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을 통합한 ‘새정치민주연합(이하 새정치연합)’이 26일 서울 잠실 올림픽공원에서 중앙당 창당대회를 열고 공식 출범했다.
그러나 새정치연합의 앞길이 밝지만은 않다. 계파 갈등을 봉합하고 20%대로 떨어진 당 지지율을 끌어올려야 하며 ‘공천룰’을 정하는 것도 이제부터가 시작이다.
새정치연합이 본격 출범한 가운데 화학적 결합을 통해 6·4 지방선거 승리를 이룰 수 있을지 주목되고 있다.
새정치연합은 내주부터 선거대책위원회 체제를 마련하고 본격적인 지방선거 체제로 전환할 예정이다.
우선 창당 과정에서 드러난 균열들을 어떻게 메워나갈지가 관건이다. 지방선거를 앞두고 지방선거 무공천과 관련해 당내에서 논란이 터져 나오고 있다.
■ 기초선거 정당공천 무공천 논란 해결
창당대회 직후 새정치연합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정당을 등록하고 27일에는 신당의 첫 지도부 회의가 열리고 이후 국회의원의 당직 겸임을 금지(자제)한 원칙에 따른 당직 인선도 속도감 있게 진행된다.
그러나 신당의 과제는 산적해 있다. 우선 안 대표와 문재인 의원의 갈등 봉합이다. 지난 25일 오후, 두 인사가 전격적으로 ‘인사동 회동’을 했지만 대선 후 남아있던 갈등이 일거에 해소되기엔 부족하다는 평가다. 또 기초선거 무공천에 대해서도 양측의 입장 차이는 여전하다.
안 대표는 ‘무공천’을, 문 의원은 ‘무공천 재검토’가 기본 생각이다. 6·4 지방선거에서 기초의회 및 단체장 선거에서 참패할 경우 신당의 지도부 책임론이 다시 비등할 공산도 있다.
■ 통합신당 지지율 올리기 과제
하향 추세를 그리고 있는 신당의 지지율을 끌어올려야 하는 것도 신당이 풀어야 할 과제다. 창당 선언 직후 30% 후반대를 찍었던 신당 지지율은 ‘6ㆍ15’와 ‘10ㆍ4’ 삭제 논란 등을 겪으면서 20%대로 추락했다. 지방선거의 선거 결과 다수가 당 지지율로 수렴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현재의 신당 지지율로는 지방선거 승리를 장담키 어렵다는 것이 민주당 내 중론이다.
무엇보다 이번 지방선거는 야당이 수성(守城)을 해야 하는 입장이다. 따라서 지방선거에서 패배할 경우 7월30일 국회의원 재·보궐선거까지 영향을 미치게 돼 김한길·안철수 대표의 지도력에 큰 타격이 가해질 수 있다.
■ 지방선거 공천룰 확정 최대 관건
‘공천룰’ 확정도 관건이다. 기초선거에 대해서는 ‘무공천’을 결정했지만, 광역단체장 공천 방식에 대해 야권은 ‘창당 후’로 모든 일정을 미뤄둔 상태다.
이 과정에선 ‘5 대 5 지분’ 논란이 다시 비등할 공산이 크다. 지난 25일 안 의원을 떠난 윤여준 새정치연합 의장과 거취에 대해 심각하게 고민 중인 박호군ㆍ홍근명 공동위원장 등의 빈자리를 안 의원 측이 짧은 시간 동안 ‘쓸 만한 인재’로 채울 수 있느냐가 관건이다.
짧은 시간 내 모든 절차를 마치더라도 ‘기호 1번’을 앞세운 새누리당과의 기초선거 경쟁에서 무소속으로 뛰는 민주당 성향 인사가 선전할 수 있을지도 관심거리다. ‘야권표 분산’을 해결할 묘안은 현재로선 뚜렷하지 않은 상태다.
강해인기자 hikang@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