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만우절을 맞아 만우절의 유래를 두고 다양한 설이 제기돼 관심을 끌고 있다.
첫 번째 유래는 프랑스에서 시작됐다는 설이다.
옛날의 신년은 현행 달력의 3월25일로 그때부터 4월1일까지 춘분의 제사가 행해지고 마지막 날에는 선물을 교환하는 풍습이 있었다.
프랑스에서는 1564년 샤를 9세가 새로운 역법을 채용해 신년을 현행의 1월1일로 고쳤는데, 그것이 말단에까지 미치지 않아 4월1일이 신년 축제의 최종일이라 생각돼 그날 선물을 교환했다.
그중에는 신년이 바뀐 것을 기뻐하지 않는 사람들이 4월1일에 성의없는 선물을 하거나 신년 연회 흉내를 내 장난치기도 했는데 이것이 유럽 각국에 퍼졌다고 전해진다.
영국에서 비롯된 만우절의 유래도 있다.
영국은 4월 1일을 기리는 풍습이 오래전 행해왔는데 그것이 만우절이 된 것은 17세기 초로, 프랑스에서 전해졌다고 한다.
또한 동양기원설에 따르면 인도에서는 춘분에 행해지는 불교의 설법이 3월31일에 끝났는데, 신자는 그 설교 기간이 지나면 수행의 보람없이 원상태로 돌아가므로, 3월31일을 나유절(揶揄節)이라고 해 사람을 쓸데없는 일을 시켜서 재미있어했던 것이 기원이라고 한다.
이 외에도 그리스도가 4월 초에 안나스(제사장)에서 카야파(제사장)에게, 카야파에서 빌라도(유대의 총독)에게, 빌라도에서 헤롯왕에게, 헤롯왕에서 다시 빌라도에게 되돌려졌는데, 그 그리스도 수난의 고사를 기념해 타인을 헛걸음시키게 했다는 설도 있다.
다양한 만우절의 유래를 접한 누리꾼들은 “만우절의 유래, 뭐가 맞는 거지?”, “만우절 유래, 헷갈린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성보경기자 boccum@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