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령도 추락 무인기는 北 정찰기”

당국 “카메라 장착 北서 날아와… 포격 당시 우리 軍 감시”

백령도에 추락한 무인항공기는 북한에서 제작된 것으로 확인됐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2일 “백령도와 파주에서 발견된 무인항공기를 분석한 결과 두 기체가 연관성이 있고, 동일하게 제작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면서 “북한에서 개발한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고 밝혔다.

이어 “항공 정찰 능력이 매우 취약한 북한이 공중 촬영을 위해 개발한 시험용 무인정찰기로 분석됐다”면서 “하지만, 북한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무인항공기 카메라에 찍힌 사진의 해상도 등은 밝힐 수 없다”고 덧붙였다.

군과 정보당국이 백령도에 추락한 무인기를 분석한 결과 원통형 기체(가로 2m, 세로 1m)에 카메라가 장착됐으며, 지난달 24일 경기 파주에서 발견된 무인기와 하늘색 동체에 구름 모양의 색을 입혀 위장한 기체 도장 형태가 유사했다.

이와 함께 백령도에 추락한 무인기는 추락 당일 레이더에 항적이 잠시 포착됐으며, 항적은 북쪽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또 파주에서 발견된 무인기 내 리튬이온 전지 뒷면에는 ‘기용 날자’라는 글자가 표기돼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기용(起用)은 사용을 시작한다는 뜻이며, 북한에서는 우리말 ‘날짜’를 ‘날자’로 표기한다.

결과적으로 백령도에서 추락한 무인기는 북쪽에서 날아왔고, 파주에서 발견된 무인기에선 북한 말이 표기된 점으로 미뤄 돼 모두 북한 제품으로 판단할 수 있다는 것이 정부 당국의 판단이다.

특히 잇따른 북한 무인기 남침에 우리 영공이 사실상 속수무책으로 뚫린 상황에서 무인기를 이용한 테러 등의 가능성도 있는 만큼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군 당국은 낮은 고도로 나는 비행체를 포착하기 위한 저고도탐지레이더를 국외에서 긴급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신동민기자 sdm84@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