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당 한지 한 달도 안돼… 대의원 등 상대 김한길ㆍ안철수 중 선택 질문 논란 黨 ‘해당행위’ 규정 윤리위 감사 착수… 金 “무공천 재검토 요구 많아 했을 뿐”
6ㆍ4 지방선거가 60일도 채 남지 않은 가운데 기초선거 무공천을 둘러싼 새정치민주연합의 내홍이 끊이지 않고 있다.
6일 김창호 경기지사 예비후보 관계자에 따르면 김 예비후보 측은 지난달 27일 여론조사기관에 의뢰해 기초의원·대의원 3천311명에게 무공천에 대한 의견을 묻는 여론조사(응답률 37.1%,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1.7%p)를 실시했다.
김 예비후보는 ‘당의 방침을 찬성하는가’라는 질문과 ‘무공천으로 선거에 나설 경우 본인이 속한 지역에서 누가 승리할 것으로 예상하는가’라는 질문 등을 통해 당의 무공천 방침에 따른 지역의 여론 동향을 조사했다.
이런 가운데 ‘선거에서 패배한다면 누구 책임이 클 것으로 보는가’라는 질문을 통해 ‘1.김한길·2.안철수’ 등 두 공동대표의 이름을 올려 논란이 됐다.
당은 이를 해당행위로 규정, 지난달 31일 윤리위원회 평가감찰실을 보내 감사를 진행했고 김 예비후보측은 “당 내부에서 무공천 재검토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많아 여론조사를 진행했을 뿐 다른 의도는 없었다”며 “민주적인 의사절차를 두고 당 차원에서 감사를 벌인 것이 실망스럽다”고 반발했다.
김 예비후보 측이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는 응답자의 60.7%는 ‘정당공천을 해야한다’, 32.9%는 ‘무공천 원칙을 지켜야 한다’고 답했다.
이런 가운데 새정치연합 신경민 최고위원이 무공천 방침에 대해 “무공천하려면 차라리 당을 해산해야 한다”며 철회를 주장하는 등 무공천 방침에 반기를 드는 당내 목소리는 더욱 높아지고 있다.
새정치연합 정청래 의원도 트위터에서 안철수 대표를 향해 “(기초선거 무공천 방침 고수가) 혹시 안철수의 새정치가 아닌 ‘안철수의 내정치’라고는 생각하지 않는가. 무공천은 안철수 대표의 정치적 이익을 위해 3천명의 후보에게 희생을 강요하는 반민주적 리더십”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김한길·안철수 공동대표는 주말 동안 무공천 방침 번복 가능성을 일축했다. 무공천을 둘러싼 당내 논쟁에도 불구하고 무공천 약속을 지키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안 대표는 이날 서울 홍대 앞 걷고 싶은 거리에서 ‘기초선거 정당공천폐지 국민과의 약속입니다! 안철수·김한길의 약속토크’ 행사를 가졌다.
그는 “공천의 유무보다 커다란 손해를 감수하면서도 국민과의 약속을 지키는 모습이 국민의 신뢰를 얻을 수 있다”며 무공천 유지 입장을 강조했다.
김 대표도 지난 5일 식목일 ‘민생의 나무, 약속의 나무심기’ 행사에서 “약속과 민생이라는 두 기둥의 나무를 심는다”며 “우리는 약속을 지키고 민생을 살리는 정치를 반드시 해내겠다”고 밝혔다.
강해인ㆍ정진욱기자 panic82@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