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연합 기초선거 공천
새정치민주연합이 10일 기초선거 후보를 공천하기로 당론을 확정하면서 6월 지방선거 최대 승부처인 경기·인천지역 판세에 대한 전망도 엇갈리고 있다.
무엇보다 이번 지방선거는 새정치연합이 새누리당과 사실상 양자대결 구도를 형성했다는 점에서는 매우 긍정적이다. 하지만 새정치연합 출범의 핵심인 ‘무공천’을 철회한 데 대한 유권자들의 비판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이는 점은 큰 부담이다.
■ 지방선거 후보난립 봉합 관건
새정치연합이 공천을 하지 않을 경우 ‘기호 2번’을 포기해야 한다는 점과 후보난립 등으로 지방선거는 필패라는 전망이 지배적이었다. ‘무공천’ 철회 요구가 당 내외에서 거셌던 이유다.
그러나 공천 실행으로 새정치연합이 대부분 현역으로 있어 방어전을 펼쳐야 하는 경기·인천 등 수도권지역 선거에서도 간접효과가 기대된다. 기초선거와 광역선거 후보들이 같은 색 옷을 입고 같은 번호를 달고 합동유세를 하면 서로 ‘윈윈’할 수 있는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
무엇보다 무공천 방침을 둘러싸고 격화됐던 당내 논란을 봉합하면서 각 계파를 통합해 지방선거 전열을 정비할 수 있게 됐다. 기초선거에 출마하기 위해 3천여명이 집단 탈당해야 하는 불상사도 피했다. 집단 탈당 후 무소속으로 당선된 후 복당하는 코미디 같은 상황을 우려할 필요도 없어졌다.
■ 기초선거 무공천 철회··신뢰성 타격
하지만 ‘무공천’ 철회로 새정치연합의 신뢰성에 상당한 타격을 받게 된 점은 엄청난 부담이 될 전망이다.
민주당과 안철수의 합당으로 탄생한 새정치연합의 모토인 새정치 핵심이 바로 무공천이었기 때문이다.
당원 투표와 국민여론조사 등 절차적 정당성을 어느 정도 확보했다고는 하지만 결국 약속을 철회했다는 비판을 벗어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무공천에 정치적 명운을 걸었던 안철수 공동대표의 정치적 위상이 적지 않은 타격을 입으면서 새정치 이미지와 맞물린 ‘안철수 효과’도 사실상 더 이상 기대하긴 어려워졌다. 양측 통합의 고리였던 무공천이 철회되면서 ‘도로 민주당’이란 비판만 떠안게 됐다.
공천을 하는 것도 문제다. 우선 선거가 두 달도 채 남지 않은 상황에서 당장 공천에 착수한다고 하더라도 시간이 많지 않다.
강해인기자 hikang@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