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부 “부당한 개입 금지” 해명 역부족
기초선거 공천으로 회귀한 새정치민주연합이 개혁공천을 하겠다는 명분으로 중앙당 중심의 공천을 시도하자 국회의원들이 집단 반발하면서 당내 갈등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
당 지도부가 의원총회를 통해 개혁공천안에 대한 반발을 진화하려 했지만 일부 시도당위원장들이 사실상 중앙당 중심의 공천이 이뤄지면서 시도당이 배척당하는 것이 아니냐는 입장을 전달, 갈등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전병헌 원내대표는 15일 의총에서 “어제(14일) 회의에서 국회의원이 기초선거 공천에 관여하지 않기로 의견을 모았다”면서 “박수로 결의하자”고 요구했지만 의원들의 반발이 일었다.
일부 의원들이 “그게 무슨 말이냐, 설명을 해달라”고 요구했고 이에 대해 전 원내대표가 설명을 통해 설득에 나섰지만 야유만 돌아왔다.
이에 지도부가 회의를 비공개로 전환하려 했지만 설훈 의원(부천 원미을)이 공개 발언을 통해 “국회의원에게 손을 떼라고 하기보다는 의원들이 개혁공천할 것이라고 지도부가 믿어줘야 한다”고 반대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김한길 공동대표는 “의원이 무조건 공천에서 손 떼라는 거라고 생각한다면 그것과는 다르다고 이야기를 드린다”며 무조건적인 공천 관여 금지가 아니라 ‘부당한’ 개입의 금지라고 해명했다.
지방선거 공천 방식에 대한 문제제기와 도내 의원들의 건의도 이어졌다.
윤호중 의원(구리)은 “과거 공천 때 불공정한 일이 많았다”며 “경선방식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이 마련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의총 이후에는 수도권과 부산 등 민주당 출신 일부 시·도당 위원장들이 비공개회의를 가진 뒤 중앙당이 ‘기초단체장 후보자 자격심사위원회’를 통해 직접 기초선거 후보자 공천심사를 하려는 게 아니냐는 우려 입장을 김 대표에게 전달했다.
당내 혁신모임을 주도하는 최재성 의원(남양주갑)은 기자회견을 열어 “최고위에서 기초선거 후보자 추천에 관한 특례 부칙을 신설해 기초선거 공천 권한을 공동대표에게 넘겨버렸다”면서 “풀뿌리 민주주의에 역행하고 사실상 제왕적 총재로의 퇴행”이라며 철회를 요구했다.
강해인ㆍ정진욱기자 panic82@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